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서울시, 지하철 등 대규모 굴착공사장 지반침하 안전 강화

박태진 기자I 2025.04.13 09:34:11

도시철도 공사구간 GPR 탐사…인력 41명장비 15대 투입
신안산선 12.1㎞·GTX-A 18.7㎞ 구간도 집중 점검
8개 자치구 선정 50곳 포함 17개 자치구 추가 수요조사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최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땅 꺼짐 사고부터 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붕괴까지 최근 대형 굴착 공사장 인근에서 지반침하가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주변에 대해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시청 전경. (사진=서울시)
시는 대규모 지하 굴착 공사장과 그 주변을 먼저 점검하고, 이후 자치구에서 선정한 곳과 시가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서울 시내 도시철도 건설공사 구간 3곳 18.5㎞와 주변 도로에 대해 집중적으로 GPR 탐사를 실시한다. 최근 사고 발생 장소가 지하철 공사장 인근인 점을 고려한 조치다.

이를 위해 시는 인력 41명과 장비 15대를 동원해 지난달 말부터 해당 구간에 대해 GPR 탐사를 하고 있다.

시가 집중 점검하는 도시철도 건설공사장 주변 대상지는 3곳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이다.

또 발주처가 서울시는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서울에서 굴착 공사가 이뤄지는 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에 대해서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집중점검을 추진한다.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이다. 이중 신안산선의 서울구간은 GPR 탐사를 이달 초부터 하고 있다.

다음으로는 지난해 말에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 점검지역 50개소 45㎞ 구간에 대한 GPR 탐사도 이달 말까지 조사와 분석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해 제출하지 않았던 17개 자치구에 대해서도 수요조사를 다시 하고 자료를 수합해 추가 조사도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작년 말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따라 자치구를 대상으로 지반침하 특별점검이 필요한 지역을 자율 제출하도록 했는데, 8개 자치구에서 자체적으로 50곳을 선정해 제출했다.

GPR 탐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된 우선정비구역도상 점검이 필요한 구간에 대해서도 GPR 탐사를 한다.

아울러 지반 내 관측 센서를 설치해 지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수 있는 ‘지반침하 관측망’을 전국 최초로 시범 설치해 운영하고, 건설공사장 주변에 신기술을 적용한 계측 장비를 설치하기로 했다.

신기술 계측 장비는 관측공에 여러 개의 센서를 설치해 지층별 변화 측정, 인위적 힘을 가해 지반의 움직임 측정, 침하 핀을 이용한 공동 감지 등의 장치다.

이번 GPR 탐사 결과와 신기술 도입 내용은 서울안전누리 홈페이지에 공개한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연이은 지반침하 사고에 서울시는 시민 불안을 해소하고 도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GPR탐사를 강화해 실시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GPR탐사 강화는 물론, 실시간 지반변화 계측장비 도입 등으로 더 강화된 안전관리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