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2명 중 1명 “인과응보 안 통해…정직하면 바보되는 사회”

이지현 기자I 2023.08.15 09:58:43

원효불교 의뢰 데이터리서치 1000명 대상 ARS 조사
공정과 상식 강조한 文·尹 정부 7년째지만 불신 팽배
국민 10명 중 4명만 ‘행복’ 20대 기준은 ‘물질적 소유’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국민 2명 중 1명 이상은 우리 사회를 ‘정직하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잘사는 사회’라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와 윤석열 정부가 공정과 상식을 강조했지만, 정직하면 바보가 된다는 사회적 불신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 국민 4명 중 1명만 ‘정직한 사회’ 평가

15일 여론조사기관 데이터리서치가 원효불교의 의뢰를 받아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종교와 기치관에 대해 ARS 국민 여론조사를 진행한 결과 ‘우리 사회가 어느 정도 정직한 사회라 생각하느냐’라는 물음에 10명 중 7명(69.9%)이 ‘정직하지 않다’고 봤다.

자료=데이터리서치 제공
‘정직하다’고 평가한 이들은 25.5%에 그쳤다. 이런 불신은 전 연령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의 중추 세력으로 평가는 30~50대의 불신은 70%를 웃돌았다. ‘거짓말하는 사람들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라는 물음에 52.7%는 ‘정직하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들이 잘사는 사회’라고 평가했다. ‘정직한 사람이 잘되는 사회’라는 답변은 25.5%에 불과했다.

문재인 정부는 ‘공평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윤석열 정부는 ‘공정과 상식’을 가치로 내걸었지만, 국민이 체감하기에는 정직한 사람이 잘사는 사회라는 상식은 통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최근 광복절 특사 사면 대상에 횡령과 배임 등으로 기업에 막대한 소실을 입혀 실형이 선고된 비리 기업인들을 대거 사면·복권 하면서 공정에 대한 사회적 불신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국민의 절반가까이가) 정직하게 살면 바보되는 사회라고 평가하는 것 같다”며 “인과응보(因果應報), 사필귀정((事必歸正))이 이뤄지는 사회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아진다는 점은 우려스럽다”라고 말했다.

◇ 10명 중 4명 ‘행복’…기준은 ‘내 마음’

이같은 불신은 스스로 느끼는 행복과도 연관이 있었다. 평소 어느 정도 행복하느냐는 물음에 38.9%만 ‘행복하다’라고 답했다. 44.6%는 ‘보통’, 15%는 ‘불행하다’고 느꼈다. 행복은 남성(36.2%)보다 여성(41.6%)이 더 많이 느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이하 49.6% △50대 38.7% △30대 37.8% △60대 이상 36.8% △40대 34.1%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녀 양육과 부모 부양의 낀 세대로 불리는 40대 행복하다는 답변이 가장 낮은 것이다. 반면 불행하다는 답변은 △50대 21.6% △30대 16.1% △40대 13.6% △60대 이상 13.5% △20대 이하 10.9% 등의 순으로 높았다.

홍형식 소장은 “정상적인 사회라면 많은 사람이 행복해야 하는데 현재 그렇지 못하다고 봐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보수성향 답변자의 47.8%는 행복하다고 답했지만, 진보성향 답변자는 31.6%만 행복하다고 했다. 불행하다는 답변은 9.4%, 22.1%로 크게 차이가 났다. 종교별로도 차이가 났다. 행복하다는 답변은 △불교 43.5% △기독교 41.1% △천주교 25% 등으로 나타났다. 불행하다는 답변은 △기독교 14.4% △불교·천주교 12.6% 등으로 집계됐다.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는 이들이 느끼는 사회적 불신은 57.5%로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 불행하다고 느끼는 이들의 불신은 89.2%나 됐다. 개인이 느끼는 행복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불신도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행복의 기준은 어디에 있다고 생각할까? 48.8%가 마음에 달렸다고 봤다. 그런데 34.3%는 물질적 소유나 사회적 성취에 달렸다고 봤다. 이런 성향은 연령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30대 이상 대부분의 연령이 행복이 마음에 달렸다고 봤지만, 20대 이하의 경우 마음(39.6%)보다 물질적 소유나 사회적 성취(43.1%)에 더 큰 비중을 뒀다.

스스로 행복하다고 답변한 이들의 64.8%는 행복의 기준이 마음에 달렸다고 봤지만, 불행하다고 답변한 이들 중 65.3%는 물질적 소유나 사회적 성취에서 행복의 기준을 찾았다.

홍 소장은 “마음이냐 물질이냐 선택할 수 있는 건 이미 물질을 누려본 사람이 할 수 있는 것”이라며 “20대는 자립과 생존에 내몰려 아직 물질적 풍요도 느껴보지 못하다 보니 행복의 기준을 물질적 소유에서 찾는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다. 젊은이들이 돈만 밝힌다는 비판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