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진이 아니라 대지진에 앞서 발생하는 신호일 것이라는 주장도 없지 않다. 이러한 갑론을박에 국민들은 아연 ‘지진 공포’에 휩싸였다. 설령 여진이라도 부산의 80층짜리 고층건물이 흔들리고 서울과 제주에서도 감지될 만큼 규모가 큰 데다 본진 이후 400여 차례나 여진이 이어졌다. 여진 발생 횟수에서도 과거 기록을 훌쩍 넘어서면서 곳곳에서 ‘지진 멀미’를 호소할 정도라면 단순한 대중의 공포심리로 치부할 상황은 아니다.
|
차제에 허술하기 짝이 없는 국민안전처의 업무 태도부터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국가적 재난관리를 총괄한다는 중책을 떠안고 출범한 안전처의 홈페이지는 어김없이 먹통이 됐고 긴급재난 문자는 지난번보다 5분이 더 늦은 14분 후에야 발송됐다. 여론의 질타를 받고도 나아지기는커녕 오히려 늑장을 부렸으니 ‘국민 재난처’란 비아냥이 쏟아져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한 각종 건축물과 구조물, 문화재 등의 내진설계 보강과 이번에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을 비롯한 전역의 정밀 지질조사가 시급하다. 한반도에서 규모 7.4 안팎의 지진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이미 제기된 터에 규모 6.5를 기준으로 설계된 원전들을 방치하는 것은 대재앙을 가만히 앉아서 기다리는 꼴이다. 현재의 진척 속도로는 180년 뒤에나 완료된다는 각급 학교의 내진설계를 대폭 앞당기기 위한 예산 증액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