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 “전기·가스 등 생산비와 직결되는 공공요금도 대폭 오른 점을 감안해 이 부분에 대한 지원도 고민해야 한다”며 “인력 부족 문제는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규제 완화로 해소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장기적인 대책에 대해서는 “잠재적인 수요가 있는 곳에 대한 수출 다변화를 고민해 한 지역에 문제가 생겨도 타격이 줄도록 해야 한다”며 “대통령이 해외에 나가 수주한 부분들도 중소기업계로 확산할 수 있는 적극적인 노력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노민선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수출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마케팅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수출 중소기업 전용 보험상품의 한도 상향과 보험료 할인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해법을 제시했다.
일각에서는 어차피 당장 수출 회복이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해 단기 대책보다는 이 기회에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임채운 서강대 명예교수(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이사장)는 “내년까지는 주요 수출국의 경기가 좋지 않을 것”이라며 “당장의 수출실적을 위해 사절단을 보내거나 상담회를 해도 효과가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중장기적으로 수출 중소기업의 역량 강화나 수출 현지 시장의 기반을 다지는 데 집중하는 쪽으로 접근하는 게 필요하다”며 “전통적인 수출 품목에는 한계가 있다. 친환경이나 방위사업처럼 품목의 다변화·고도화로 전환하면서 내년 이후를 바라보는 게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