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이미지를 앞세워 추진했던 서울시의 전기차 보급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로 폐기될 상황에 처했다. 서울시는 오세훈 전임 시장 시절 ‘2020년까지 전기차 12만대 보급’을 선언했으나 경제성과 실용성이 떨어지는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부족해 1000대도 채 보급되지 않고 있다. 박원순 시장은 2014년까지 1만대 보급으로 목표를 하향조정했으나 이마저도 쉽지 않아 보인다. 배터리 성능과 충전기술 등 전기차 사업 성공의 관건인 기술력에 대한 철저한 분석없이 친환경 이미지만 내세우며 성급히 추진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지난해말 기준 서울 시내 전기차는 승용차 334대, 버스 14대, 이륜차 590대 등 총 938대다.
6일 서울시의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의 전기차 관련 예산은 201억8900만원이었으나 실제 지출은 120억4700만원에 그쳤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사업도 63억5700만원의 예산을 준비했지만 사용액은 20억9700만원에 그쳤다. 경제성 낮은 전기차의 민간 수요도 기대만큼 살아나지 않고 있어 구매 보조금도 덜 지출되고 있고 충전 후 주행 가능거리가 짧아 공공용도로도 활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전기버스 사업의 경우는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당초 서울시는 지난 2010년 남산 순환로에 9대 도입을 시작으로 일반 노선버스로도 전기버스를 활용해 2014년까지 377대를 보급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아직 14대의 전기버스만 보급된 상태다. 일반버스용 전기버스는 내부 검토단계에서 중단됐다. 전기버스는 주행거리가 최대 30㎞에 불과해 노선길이가 평균 35~40㎞인 일반 시내버스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전기버스 구입비용이 한 대 4억9500만원이고 1억원 가량의 배터리도 필요해 1억원의 정부 보조금을 감안하더라도 평균 1억원대 가격인 일반버스(CNG버스 기준)에 비해 너무 비쌌다.
서울시는 올해 전기버스를 5대만 구입해 서울대공원 내부순환용과 올림픽공원 순환용으로 쓰기로 하고 전기버스 보급 사업에서는 사실상 손을 뗀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해 50억9000만원이 책정됐던 전기버스 사업 예산은 24억7500만원이 지출되는 데 그쳤다. 시 관계자는 “전기버스 사업은 (주행거리 증가) 기술발전이 이뤄지기 전까지 보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전기이륜차 역시 경제성 부족으로 애를 먹고 있다. 전기이륜차의 출고가는 385만원으로 250만원의 보조금(정부·시 각각 125만원)을 받으면 실제 구입비용은 135만원이다. 이는 일반 휘발유 이륜차와 비슷한 수준인데 전기이륜차는 충전 후 주행거리가 최대 55㎞ 정도에 불과해 배달업소 등 주요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는 실정이다.
그나마 전기 승용차가 서울시의 전기차 사업의 체면을 간신히 세워주고 있다. 지난 5월 시작한 전기차 카 셰어링 사업이 전기차 보급의 물꼬를 텄다. 서울시에 보급된 217대의 전기차 가운데 184대가 카 셰어링업체들이 것이다. 전기승용차(레이EV 기준) 가격은 4500만원이지만 3000만원(정부·시 각각 1500만원)의 보조금이 지급된다.
시는 앞으로 전기차 보급사업을 재검토해 보다 현실성 있게 접근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137억원이었던 전기차 보급 예산은 올해 63억원으로 절반 가량 줄었다.충전인프라 구축사업도 지난해 63억원대에서 올해 27억원대로 확 줄었다.
서울시 고위 관계자는 “2010년 말 사업시작 때에는 공공부문이 일단 보조금 확대 등으로 사업을 선도하면 기술개발이 뒤따라올 것으로 기대했다”며 “벌써 3년째인데 개발 속도가 너무 느리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