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구축 시동 건 대환대출...“중개수수료 갈등은 여전”

전선형 기자I 2023.01.10 06:05:00

54곳 참여사 확정..저축은행 18곳ㆍ캐피탈 10곳
협의체 구성 뒤, 중개수수료 공시, 시범운영 방안 논의
2금융권 ‘고객 이탈ㆍ수수료 부담 호소’ 지속

[이데일리 전선형 기자] 금융당국이 5월부터 선보일 대환대출플랫폼 서비스가 참여사를 확정하고 본격적인 시스템 구축에 들어갔다. 개인신용대출에 한해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대출갈아타기를 할 수 있어 차주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지만, 중개수수료ㆍ고객이탈 등을 우려한 업권간 갈등이 여전한 모습이다.

9일 금융업계 및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대환대출 플랫폼 시스템 구축과 관련 참여 금융사 54곳을 확정하고, 개발에 들어갔다. 시스템 구축은 금융결제원망을 통해 이뤄지며 기존대출 조회, 상환정보 사전조화, 상환결과 조회 등이 주 내용이다.

참여 금융사는 은행 19곳, 저축은행 18곳, 카드사 7곳, 캐피탈사 10곳이다. 참여사 중 은행과 카드사는 현재 개인신용대출을 취급하는 은행 전체가 참여하고, 저축은행은 SBIㆍOKㆍ페퍼ㆍ웰컴ㆍ다올ㆍ애큐온ㆍ한국투자ㆍJT친애ㆍ신한ㆍJTㆍKBㆍ모아ㆍ대신ㆍ키움ㆍ예가람ㆍ하나ㆍ고려ㆍHB저축은행이다. 캐피탈사는 롯데ㆍ우리금융ㆍ하나ㆍ한국ㆍ현대ㆍBNKㆍJBㆍKBㆍNH캐피탈이다. 이들은 업권 신용대출 점유율 90%를 이루는 상위사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해 11월 ‘금융권 대환대출 인프라 구축 추진’을 발표하고 5월을 목표로 추진중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 주관으로 금융권과 핀테크사가 참여하는 금융권 공동 협의체를 구성하고, 협약서 체결 등을 논의하고 있다. 협약서에는 정보제공방식과 범위, 중개수수료 공시, 시범운영 방안 등이 구체적으로 포함될 예정이다.
(자료=금융위원회)
금융당국이 추진중인 대환대출 플랫폼은 금융회사 대출상품을 한 번에 비교하는 것은 물론 비대면으로 기존 대출금을 상환하고 신규 대출을 해주는 획기적인 아이템이다. 시스템은 금융결제원의 대출 이동 시스템을 이용하고, 핀테크사의 대출 비교 플랫폼을 합친 형태다. 그간에는 대환대출을 하기 위해서 차주가 직접 기존금융사와 갈아탈 금융사를 방문해야하거나, 대출비교 플랫폼을 이용하더라도 해당 플랫폼 사가 제휴를 맺은 한정된 금융권 비교만 가능했다.

금리상승기 차주들의 대출이자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지만, 금융권 간 내홍은 여전한 상태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약 3년 전인 2020년에도 논의가 됐었지만 빅테크의 시장 장악을 우려한 시중은행, 1금융권에 차주들을 빼앗길 수 있는 저축은행 및 여신금융사 등의 반발로 번번이 공전해온 바 있다.

특히 중개수수료에 대한 불만은 계속되고 있다. 현재 핀테크사에의 대환대출 플랫폼이 대출 중개를 해주고 받아가는 수수료율은 저축은행 1.7∼1.8%, 시중은행 0.4∼0.5% 안팎으로 추정된다.

현재 2금융권에서는 핀테크사들의 수수료율 책정 상황이 불합리하다고 주장하며 수수료율을 낮춰달라고 요구 중이다. 5월에 할 대환대출 플랫폼 서비스 운영에 있어서도 현재의 수수료율이 산정 근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시작 전에 최대한 수수료율을 낮춰놔야 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핀테크사에서는 위험이나, 금리 수준을 두고 수수료율을 산정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2금융권에서는 대출금액이 아닌 금리로 수수료율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불만인 상황”이라며 “금융당국에서 관련해서 문제를 인지하고 전수조사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금융당국도 지난주 저축은행의 의견을 수렴해, 수수료율 책정과 관련한 현황자료를 제출토록 빅테크·핀테크에 요청한 상태다.

이어 “플랫폼 서비스가 시작되면 사실 핀테크사에게 유리한 것은 맞다. 구글플레이의 망사용료 문제만 보더라도 플랫폼의 힘이 거대해지면 이용자들을 끌려다니는 형국이 된다”며 “특히 카드사나 저축은행들 지금 조달비용이 올라 올해 경영 화두가 비용효율화인 상황에서 중개수수료 등 비용 등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