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쳐 분단과 전쟁이라는 암울한 시대상황 속에서 해외로 흩어졌던 우리 문화재를 환수하는 데 결정적인 공을 세운 이들이 적지 않다. 그 중 굳이 세 사람을 꼽자면 프랑스에서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와 ‘외규장각 의궤’를 발견한 박병선(1929∼2011) 박사, 고종과 순종의 어보 환수를 위해 평생을 바친 큐레이터 조창수(1925∼2009) 선생, 안중근 의사의 유묵 환수에 결정적 공을 세운 황수영(1918∼2011) 전 동국대 총장을 들 수 있다.
|
파리에 위치한 프랑수아 미테랑 국립도서관에서 사서로 근무하던 중 동양문헌실 특별서고에서 ‘직지’를 발견해 1972년 세상에 공개했다. 이어 1975년에는 국립도서관 베르사유 분관에 파손된 책을 보관하는 곳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폐지로 분류돼 잠자고 있던 ‘외규장각 의궤’ 297권을 마침내 발견했다. 하지만 박 박사는 책의 존재를 한국에 알렸다는 이유로 권고사직을 당하는 고초를 겪었다. 결국 ‘외규장각 의궤’는 2011년 5월 병인양요 이후 145년만에 고국의 품으로 돌아왔다. 정부는 박 박사가 프랑스 국적임에도 국가적 공로를 인정해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했다.
|
특히 1987년에는 고종·순종·명성황후 어보 등이 미국 경매에 나온 사실을 알고 소장자를 설득하고 민간기금을 모으는 등 환수에 결정적 공을 세웠다. 유물을 되찾은 뒤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조건 없이 기증했다. 2007년에는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한국실 설치를 주도하기도 했다. 정부는 조 선생의 공을 기려 2013년 옥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
▶ 관련기사 ◀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①] '빼앗긴 문화재' 단 5.8%만 돌아왔다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②] 어디에? 무엇이? 소재파악 첩첩산중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③] 기껏 환수해도 방치하기 일쑤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④] '북관대첩비 환수' 성공엔 남북협력 있었다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⑤] "지하수장고 유물 꺼내려면 세제혜택 줘야"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⑥] 국보 '외규장각 의궤' 5년마다 佛서 빌려야
☞ [갈길 먼 문화재독립⑦] 문화재 환수 숨은 영웅 3인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