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린듯 수억 뜯겼어요"..짜고치는 연극에 속수무책

김형환 기자I 2024.11.12 05:20:00

■이젠 ‘한탕’, 진화하는 피싱
보이스피싱 피해…20대 줄고 60대 증가
‘악성앱 설치’ 유도 후 전화 가로채기로 속여
‘검사 연극’부터 경찰·은행원 속이기까지
계속 진화하는 보피…딥보이스 의심 사례도

[이데일리 김형환 이영민 정윤지 기자] “의심스러워서 112에 확인했는데도 맞대요. 그땐 속을 수밖에 없었어요.”

서울에 사는 60대 김모씨는 지난 3월 ‘카드가 발급됐는데 집에 계시느냐’고 연락을 한 목소리를 잊지 못한다. 그런 적이 없던 김씨는 모르는 일이라고 했지만 2~3차례 정체불명의 카드 결제 문자가 도착했다. 수화기 너머의 피싱범은 김씨에게 ‘사기를 당한 것 같다. 내가 보내주는 앱을 깔고 대응하라’고 했다. 그리고 이틀 만에 노후자금으로 모아뒀던 현금 5억원을 모두 날려버렸다. 이상한 낌새를 느낀 김씨는 수차례 경찰이나 금융감독원에도 전화를 해봤지만 피싱 일당은 악성 앱을 통해 그 전화를 ‘가로챘고’ 김씨가 의심할 수 없게 만들었다.

과거 ‘아무나 걸려라’식 문어발 보이스피싱이 이제는 특정 연령대에 맞춘 시나리오로 대규모 조직이 피해자를 속이는 ‘조직형 보이스피싱’으로 점차 발전하고 있다. 특히 신기술 접근성이 낮고 노후를 위해 비교적 많은 자금을 모아둔 60대 이상 노인들이 대표적인 타깃이 되고 있다. 경찰과 금감원 등 관계기관이 피싱에 팔을 걷어붙인 지 여러 해가 지났지만 범죄 기술이 진화하면서 다시 피해가 커지는 양상이다.

(그래픽=이미나 기자)
◇전화 가로채기부터 ‘연극’까지…타깃되는 노인들

11일 경찰청이 채현일 의원실(더불어민주당)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9월까지 20대 이하 피해자는 3999명으로 지난해 8886명에 비해 절반 이하로 줄어들었다. 반면 60대 이상 노인 피해자는 지난해 2921명에서 올해 9월까지 3364명으로 증가했다. 아직 올해가 3개월이 남은 점을 고려할 때 이 추세대로라면 고령층 피해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데일리가 만난 60대 이상 고령의 피해자들은 ‘속을 수밖에 없는 범죄’라고 입을 모았다. 단순히 전화 한통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적으로 며칠에 거쳐 ‘작업’을 하기 때문이다. 인천 부평에 거주하는 70대 여성 A씨는 지난해 크리스마스에 3억원이 넘는 돈을 뜯겼다. A씨는 악성 앱 설치가 꺼려져 망설였지만 검사와 경찰로 분장해 연극을 한 일당은 영상통화를 통해 A씨를 속였다. 이들은 은행이 거액 인출을 의심할 가능성까지 고려해 ‘땅을 사기 위해 돈을 찾는다’고 말하라고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 결국 앱 설치까지 하게 한 이들은 수표로 3억원 이상의 돈을 받고 사라졌다.

◇‘악성 앱 막기’ 총력 나선 경찰…보피는 계속 진화

경찰은 디지털에 대한 인지가 비교적 낮은 노인들을 타깃으로 한 ‘악성앱’ 보이스피싱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영향으로 20대 피해자는 줄어들고 60대 이상 피해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경찰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이 마치 영화 ‘트루먼쇼’처럼 피해자를 장기간에 걸쳐 속이고 있다”며 “연령층, 성별로 타깃을 정해 효율을 추구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한 명을 제대로 속이면 1억원 이상도 뜯어낼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실제 악성앱이 깔린 뒤 벌어지는 일은 상상을 초월한다. 지난해 9월 1억원의 피해를 입은 B(78)씨의 경우 피싱 조직의 유도로 악성앱을 설치한 뒤 검사로부터 ‘범죄에 노출됐다’는 연락을 받고 은행에서 5000만원씩 2번 인출했다. 이 과정에서 은행원은 보이스피싱을 의심해 경찰을 불러 B씨의 아들과 연락을 취했지만 이미 악성앱으로 가족 번호를 지우고 범인이 자신의 번호를 ‘아들’로 저장해둔 후였다. 전화를 받은 조직원은 ‘술을 마시고 지인을 폭행해 합의금을 내기 위해 엄마가 돈을 찾는 것’이라며 의심을 피했고 결국 1억원의 돈은 조직으로 흘러들어갔다.

경찰은 악성 앱 탐지 기술 개발 등 문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이스피싱 범행은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딥보이스’다. 딥보이스란 인공지능(AI) 기반 음성합성기술로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복제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달 도봉구에서 중년 여성 C씨가 ‘엄마 이상한 사람들이 나를 차에 태워서 갔다’는 전화를 받았다. 보통 이같은 범행은 단순히 우는 소리를 내고 대화를 하지 못하게 하는 게 보통인데 C씨의 경우 딸과 똑같은 목소리와 직접 대화까지 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경찰 관계자는 “녹음파일을 확보해 확인은 못했지만 딥보이스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