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김 단장은 “정부가 내놓은 대책의 경우 숫자만 놓고 보면 15만명에 ‘플러스 알파’(+α·이상)다. 많아 보이지만 그만큼이 실제로 필요하다”며 인력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근 정부는 반도체 ‘초격차’를 이끌 인재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향후 10년간 15만여명의 반도체 인재를 키우겠다는 계획을 내놓은 것이다.
하지만 이같은 방안이 국내 반도체 산업 현장의 인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현재 우리 반도체 산업계에서는 인력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김 단장은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나 장비·소재 기업을 만나면 인력이 없다는 이야기가 많이 들린다”며 “국내 우수 반도체 인력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에 몰려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인재가 대기업으로 쏠리는 현상의 가장 큰 요인은 ‘임금’이다. 김 단장은 “대기업의 임금 수준을 맞춰줄 수 있는 중소기업이 없기 때문에 인력 부족 현상이 심화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
김 단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기업이 선두주자로서 기술 개발을 계속 하기 위해서는 석박사급 우수 인력이 필요하지만 이들 자체의 수가 적다”며 “특히 반도체를 깊이 있게 공부한 전문 인력이 많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우수 인력 부족의 배경에는 교수 인력 부족이 자리잡고 있다. 김 단장은 “결과적으로는 교수가 없으니 이들을 가르칠 석·박사 인력도 부족한 것”이라며 “우수 인력의 수가 줄어드는 이유”라고 꼬집었다. 산업계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교수 인력부터 확충해야 하는 셈이다.
오랜 시간 대학 일선에서 학생들을 가르쳐 온 김 단장으로서는 아쉬움이 크다. 그는 “대학교에서는 교수들이 강의에 쏟는 비중보다 연구에 더 큰 비중을 둔다”며 “그러다보니 강의가 부실한 경우가 생기고, 교수 숫자도 적어 한 명의 교수가 많은 학생을 가르치고 있다”고 했다.
김 단장은 정부가 과감히 학계 R&D를 지원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연구비 지원을 통해 교수와 학생 모두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강의교수’다. 제도를 개선해 강의만 전담하는 교수를 둔다면 기업 퇴직자 등 전문 인력을 활용해 일정 수준의 반도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미국에는 강의 교수라는 제도가 있다”며 “기업에서 은퇴한 인력이 강의만 전담한다면 경험 있는 분들을 활용할 수도 있고 학생들도 우수한 강의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