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해체 감리자를 해체 전문가로 보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해체 관련 공법과 붕괴·안전사고 대비, 현장 관리는 일반 시공과 다른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해체 공사 감리자로 지정되면 국토안전관리원과 대한건축사협회 등에서 반드시 교육을 받아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나마 이뤄지는 교육도 기간은 닷새에 불과해 전문적인 영역을 다루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구조물 해체 업계 관계자는 “감리자 상대 교육은 전문가를 양성하는 과정이라기보다 개별 현장에 대응하는 단편적인 대처”라고 지적했다.
관건은 고층 건물이 늘어나는 추세다. 서울시를 예로 들면 최근 10년(2020년 기준) 사이 5층 미만 건축물은 감소하고 5층 이상 건축물은 증가했다. 특히 31층 이상 고층 건축물은 두 배 넘게(248→532층) 늘었다. 층수가 높아지면 해체 작업 난이도도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 그간 저층 해체에 쓰인 단순 공법으로는 앞으로 다가올 시장을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뒤따른다.
이런 이유에서 해체 기술력을 확보하는 노력과 동시에 해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하는 것이 업계의 요구다. 일정 경력 이상을 갖춘 종사자에게 전문성을 인증하거나 아예 기술자격 제도를 도입해 전문가를 양성하는 ‘투 트랙’ 방식이 거론된다. 해외 사례를 보면 미국, 일본, 영국 등은 해체 자격증을 두고 매해 전문인력을 배출한다.
해체 인력을 양성할 교육 과정을 도입하는 것도 보완할 부분이다. 현재 해체 교육 과정을 도입한 대학(교) 등 수준의 고등 교육기관은 찾아보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해체를 학문이 아니라 건축의 일부 영역 정도로 여기는 인식 탓이다.
정재욱 서울과학기술대 안전공학과 교수는 “앞으로 고층 아파트나 대형 구조물이 해체의 대상이 될 텐데 종전 기술력으로는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워질 것”이라며 “대학과 대학원에서 해체 교육을 강화하거나 전문 기술사 자격을 부여하는 방향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