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가적 도발 징후냐 아니냐
북한을 전문적으로 분석하는 워싱턴 싱크탱크인 38노스는 7일(현지시간) 전날 촬영된 상업 위상사진을 토대로 미사일 발사대와 엔진시험대 재건 공사가 빠르게 진척되고 있으며, 정상가동 상태로 회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같은 날 또 다른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와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이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에 올린 보고서도 북한이 서해 발사장에서 발사대와 수직 엔진 시험대의 주요 부품들의 복구를 계속하면서 이를 정상가동 상태로 되돌렸다고 쓰여있다. 동창리 발사장은 김정은(오른쪽)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평양 남·북 정상회담 당시 비핵화 조치의 하나로 완전한 폐기 및 국제전문가들의 참관을 약속한 곳이다. 따라서 지난해 여름부턴 사실상 가동이 멈췄다.
앞서 38노스와 CSIS는 지난 2일 촬영된 상업용 위성사진을 분석한 결과 동창리 발사장이 복구되고 있다고 처음 공개한 바 있다. 여기에 발맞춰 한국의 국정원도 5일 국회 정보위 간담회에서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과 관련, “철거 시설 가운데 일부를 복구하고 있다”며 확인했었다.
다만, 아직 북한의 의도에 대해선 평가가 엇갈린다. 먼저 ‘낙관론’이다. 복구공사가 지난달 27~28일 열렸던 2차 핵 담판 열흘 정도 전부터 시행됐던 만큼, 북한이 정상회담의 성공을 염두에 두고 대대적인 홍보성 폐기 행사를 벌이기 위해 손을 봤다는 분석이다. 아직 추가적인 도발로 단정하긴 이르다는 얘기다.
반면, 회담 결렬 후 공사가 더욱 진척됐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대미(對美) 압박용 카드로 쓰기 위한 도발 징후라는 우려도 만만찮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에 이어 미국의 안보사령탑이자 대북(對北) 매파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보좌관까지 “사실이라면 매우 실망할 것”이라고 경고했지만, 북한은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으로 비치기 때문이다. 차 석좌와 버뮤데즈 연구원은 CSIS 보고서에서 “발사장의 복구 활동들은 얼마나 빨리 북한이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을 폐기하기 위한 어떤 조처도 조금의 주저함 없이 쉽게 되돌릴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며 “이는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며 검증 가능한 비핵화라는 미국의 목표에 대한 도전을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자제했던 한미훈련 뒤늦게 비판
그동안 자제했던 북한의 대(對) 한·미 비난 재개도 의미심장하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7일 “남조선과 미국이 ‘동맹’이라는 새로운 명칭의 합동군사연습을 벌려 놓았다”며 “이는 조(북)미 공동선언과 북남 선언들에 대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2차 핵 담판 결렬 이후에도 대화 분위기를 이끌어가고자 북한이 가장 경계하는 키리졸브·독수리·을지프리덤 가디언 연습을 중단하는 대신, 지난 4일부터 참가 병력이 대폭 줄고, 기간도 축소 조정된 ‘동맹’을 실시하고 있다. 사실상 북한을 최대한 배려한 훈련에, 그것도 훈련 시작 사흘이 지난 시점에서 뒤늦게 반발한 것이다.
다만, 양측 모두 판을 먼저 깨기엔 상당히 멀리 온데다, 정치적 부담도 만만찮다는 점에서 파탄의 길보단, 소위 냉각 기간을 상당 기간 이어갈 공산이 크다. 하지만, 2차 핵 담판 결렬 이후 북한의 비핵화 의지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하면서 워싱턴 정가의 분위기가 급속도로 ‘강경 기류’로 흐르고 있어 자칫 북한이 오판을 내릴 경우 그 파장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