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종수 한국회계학회장(이화여대 경영학과 교수)은 ESG 공시 의무화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속도 조절’을 손꼽았다. 중견·중소기업이 충분히 ESG 공시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 회장은 “대기업보다는 중견·중소기업의 ESG를 신경 써야 한다”며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자율공시부터 적용한 뒤 천천히 공시 의무화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금융위는 국제기준에 담긴 ‘스코프3’ 배출량 공시 의무도 검토할 예정이다. 스코프3는 기업 활동과 연관된 모든 간접적인 온실가스 배출을 뜻한다. 공급망 전체에 대한 연결 공시 규제가 적용될 전망이어서, 대기업 협력업체인 중소기업도 기후 관련 ESG 공시를 대비해야 한다. 아울러 금융위는 2025년과 2030년의 2단계에 걸친 개략적인 ESG 공시 의무화 일정을 보다 세분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한 회장은 “가장 걱정되는 것은 ESG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는 기업도 많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기업 300곳에 질문한 결과, 응답 기업 61.6%는 ‘올해 경제 상황이 어려워도 ESG 경영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 답했다. 그러나 ‘ESG 의무공시 관련해 별다른 대응 계획이 없다’는 기업이 36.7%에 달했다.
한 회장은 “ESG 공시가 본격 도입되면 기업이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 환경·사회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등 두 가지 방향의 공시를 해야 한다”며 “앞으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도입 기업, 탄소배출 관련 기업의 경우 미래의 환경 비용까지 추산해 재무제표에 반영해야 하기 때문에 간단치 않다”고 지적했다.
그동안 ESG 공시가 ESG팀, 홍보팀, 기획팀의 전유물이었으나 이제부터는 전사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게 한 회장의 지적이다. 한 회장은 “미래 환경 요소까지 재무제표에 반영되면 기업에 미칠 파장이 만만치 않다”며 “정부는 수출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하되, 기업과 긴 호흡을 가지고 면밀하게 지원 방안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