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조사 결과는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최근 4년간 서울대·의대(전국 29개교) 신입생 출신 지역을 분석한 결과다. 전국 고교생(126만2348명) 중 강남 3구 고교생(4만310명) 비율이 3.2%에 불과함에도 서울대·의대 합격생 중 20% 이상을 차지했다는 사실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일각에선 수능 위주의 정시가 강남 학생에게 유리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수능도 결국 변별력을 높여야 하는 시험이라 고액의 사교육을 받은 학생이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수시 학종이 지방 학생에게 유리하다는 보장도 없다. 2019년 ‘조국 사태’에서 보듯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입시 스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같은 당 서동용 의원이 작년 10월 서울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서울대 교수 자녀의 5년(2018~2022학년도)간 서울대 수시 합격률은 25%(지원 184건 중 46건 합격)로 일반 지원자 평균(14.6%)보다 10.4%포인트 높았다.
사실 내신성적만 보고 학생을 선발하지 않는 이상 어떤 입시제도를 적용해도 이런 구도는 지속될 개연성이 크다. 제도 변화에 가장 빠르게 적용하는 쪽은 공교육보단 사교육이어서다. 공교육을 강화하지 않는 한 어떠한 입시제도 하에서도 지방보단 강남이 유리할 것이다.
마침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중 일반고 교육력을 높이기 위한 고교 교육력 제고 방안 시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당초 자사고·외고 등의 존치 여부를 담은 개편안을 내놓겠다고 했다가 이를 번복한 결과다. 일반고 공동화 우려가 거론됐기 때문이다. 발표 시점을 늦춘 만큼 공교육 체질을 강화할 방안을 내놓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