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이데일리의 취재를 종합하면 대학생 4명 중 1명은 과제물 작성 시 챗GPT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천국’이 지난달 대학생 544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AI를 학업에 활용했다는 학생은 25%(136명)에 달했다. 한국외대에 재학 중인 이모(22)씨는 “챗GPT를 이번 학기에 처음 써봤는데 과제하기가 편해졌다”며 “예전에는 글쓰기 주제를 정하는 것도 어려웠는데 챗GPT를 활용, 질문만 잘 던지면 이슈·주제를 AI가 제시해주기 때문”이라고 했다.
오픈AI가 지난해 11월 내놓은 챗GPT는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도록 훈련된 생성형 AI 서비스다. 챗GPT가 작성한 문서는 인간이 직접 쓴 것으로 착각될 정도로 구별이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학생들이 챗GPT를 과제물 작성 등에 활용하는 이유다.
반면 부작용도 나타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한 과제물이 0점 처리가 되는 일이 대표적이다. 연세대에선 지난달 중순 한 학생이 제출한 교양과목 작문 과제가 챗GPT 대필이 의심된다는 이유로 0점 처리됐다. 담당 교수는 모든 과제물에 대해 표절 검사를 실시, 해당 학생의 과제에서 표절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학생들은 챗GPT 사용 기준이 모호해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한국외대 재학생인 김모(22)씨는 “챗GPT를 참고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챗GPT가 알려준 결과를 어순만 바꾸는 식으로 악용하는 학생도 있다”고 말했다.
◇서약서 등 대책 마련 나선 대학가
챗GPT 활용에 따른 부작용이 나타나자 대학들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고려대는 지난달 16일 AI 활용 가이드라인을 제정, 전체 교수에게 배포했다. 과제물 평가 등 학생 교육에 활용하라는 취지다. 챗GPT의 답변과 원천 정보를 비교토록 해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도록 하라는 등의 지침을 담았다. 앞서 국민대도 지난 2월 28일 챗GPT 등 AI 관련 윤리강령을 선포했다. 윤리강령은 과제 제출 시 AI 활용했는지를 밝히도록 한 것이 골자다.
학생들로부터 챗GPT를 악용하지 않겠다는 서약서를 받는 대학도 등장했다. 이화여대는 지난달 ‘올바른 수업문화를 위한 윤리 서약’ 캠페인을 진행해 학생들로부터 ‘표절 등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서약을 받았다. 중앙대의 한 단과대 수업에서도 담당 교수가 학생들에게 ‘챗GPT를 활용한 부정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서약서를 제출토록 했다.
학계에서는 챗GPT를 활용한 학습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올바른 사용법을 교육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학생들은 챗GPT가 내준 답변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학습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질문법과 챗GPT가 내놓은 답을 수정·보완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