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경우 정권 말기에 생겨난 기관인데다 공수처장이 판사 출신인 만큼, 검사들이 공수처 이직에 거부감을 느껴 결과적으로 수사 전문성 측면에서 위협적인 기관이 되지 못했다. 반면, 새 정권이 들어서자마자 만들어지는 중수청은 능력 있는 검사와 수사관들이 앞다퉈 이직하려 할 것이다. 힘 빠진 검찰 조직 대신 경험이 풍부한 특수부 출신 검사들이 중수청에 자리를 꿰차는 셈이다. 검찰 특수부에 속한 검사는 인사시즌에 부서 이동이라도 이뤄지지만, 중수청에 들어가는 순간 평생 특수부 검사처럼 일하게 된다.
윤 당선인은 ‘검찰 독립성’ 강화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소위 말하는 ‘개딸’(‘개혁의 딸’의 준말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지지자를 일컫는 말)들은 검찰을 없애버리면 모든 게 다 끝날 것으로 생각하지만 결국은 경찰, 중수청, 공수처 등 수사 기관이 전부 윤 당선인의 수족이 되는 결과만 초래할 것이다. 권한이 분산된 기관은 대통령이 더욱 다루기 쉬워지고 기관들의 충성 경쟁은 더욱 과열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새 정권이 항상 깨끗하고 권력 남용을 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다는 점이다. 통제되지 않는 권력은 남용되기 마련이다. 권력이 남용되면 피해를 보는 것은 결국 힘없는 일반 국민이다. 설령 새 정권이 그런 일탈을 안 한다고 해도 그 다음 정권에선 또 모르는 일이다. 전문가들이 오랫동안 체계화된 제도를 가능한 한 일순간에 바꾸지 않으려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권력은 제도를 자기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려 하고 결국 그 과정에서는 힘없는 국민만 혼란을 겪고 고통 받게 마련이다.
|
그동안 검찰은 정치적인 사안을 수사할 때마다 정치권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권력에 순응한 검사들이 등장하면서 불신을 키웠고 결국 민주당의 검수완박 논의까지 이르렀다. 하지만 검찰을 없애는 것이 해법이 될 수는 없다. 검찰의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위해 통제 장치를 마련하고 ‘정치검사’들은 발붙이지 못하도록 인사체계를 개편하는 일이 급선무다. 검찰의 권력을 빼앗아 다른 기관에 나눠주더라도 결국 그 기관들이 권력을 남용할 가능성이 높다.
정웅석 한국형사소송법학회 회장은…△1961년 광주광역시 출생 △연세대 법학 학사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석·박사 △서경대 사회과학대 법학과 교수 △서경대 사회과학대 학장 △대검찰청 검찰개혁추진위원회 위원 △대검찰청 형사정책자문위원회 위원 △4차산업혁명 융합법학회 부회장 △한국형사소송법학회 7~8대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