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축의 영향력이 갑자기 커진 건 연준의 정책 강도가 달라져서다. 올해 한 번 금리를 올릴 거란 전망이 세 번으로 늘어나더니 지금은 네 번 인상을 당연시하는 상황이다. 그 중 한두 번은 0.25%포인트가 아닌 0.5%포인트 인상될 거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런 극단적 상황은 시간이 지나면 개선될 것이다. 과거 금리인상이 주가에 미쳤던 영향을 보면, 인상이 시작되기 직전에 주가에 큰 충격을 주다 2~3번 인상 후부터 영향력이 약해지는 게 일반적이었다. 지금은 첫 번째 금리 인상이 임박한 시기여서 시장이 과민하게 반응하고 있지만, 몇 번 인상 후에는 시장 반응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상황이 이렇게 개선되어도 주식시장이 금리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나기는 힘들다.
경제도 문제다. 최근 주가 하락 속도가 빨라진 건 긴축 우려에 경기 둔화 영향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지금은 물가에 대한 걱정으로 경기 후퇴를 감수하더라도 금리 인상을 계속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둘이 맞물리다 보니 영향력이 커진 것이다.
앞으로 국내외 경제와 관련해 주목할 부분이 몇 개 있다. 첫 번째는 긴축이다. 연내 네 차례 인상이 유력한 만큼 금리 인상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두 번째는 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다. 올 들어 국제 유가가 16% 상승했다. UAE 석유 공급 차질과 우크라이나 사태가 공급 불안을 자극한 결과다.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미국과 러시아 사이 갈등이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태여서 당분간 OPEC+도 증산에 합의하기 힘들다. 유가 급등이 소비심리 위축과 인플레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코로나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서 코로나 확산이 계속되고 있다. 다행히 오미크론의 강도가 우려보다 약해 유럽 국가들이 봉쇄조치를 완화하는 등 코로나로 인한 경제 충격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확산 속도가 빨라 경제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수 없다.
중국도 문제가 심각하다. 중국 정부의 코로나 대책은 선진국과 다르다. 선진국은 위드 코로나를 기본으로 하는 반면 중국은 제로 코로나를 토대로 정책을 펴고 있다. 제로코로나는 대규모 검사와 봉쇄 등 매우 비싼 정책이어서 경제에 압박 요인이 된다.
코로나 발생 이후 주식시장은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을 동력으로 움직여 왔다. 금리가 전고점을 넘고, 유동성이 줄어든다는 건 주가를 밀어 올린 동력이 사라진다는 의미가 된다. 지금 당장 해야 할 일은 코로나 발생 직후 큰 수익이 나던 상황을 잊는 것이다. 2020년 같은 시장은 10년에 한번도 오기 힘들다. 전세계적인 저금리와 유동성 공급이 만들어낸 특수 국면인데 거기에 기대수익을 맞추면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