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울러 그의 모친인 김형일씨도 같은 날 지분율 0.08%에 해당하는 2만 5875주를 매집했다. 이에 따라 박 상무와 특수관계인인 김씨의 지분율은 총 10.12%로 높아졌다. 다만 지난해 말 주주명부 폐쇄에 따라 이번 김씨의 추가 지분 취득에 따른 주총 의결권은 제한된다. 이에 업계는 김씨가 박 상무의 경영권 쟁취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하고 있다.
박 상무는 이와 함께 최근 본인의 주주제안 등을 설명한 홈페이지를 열고 투자자들을 설득하고 나섰다. ‘조카의 난’으로 불리는 경영권 찬탈 시도라는 여론에 대한 대응과 함께 명분을 쌓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박 상무는 또 지난달 25일 본인의 주주제안을 담은 주총 안건을 상정해 달라며 법원에 제출한 의안상정가처분 신청이 지난 5일 받아들여짐에 따라 주총 전 표심을 잡기 위한 공세를 더 펼칠 것으로 보인다.
박 회장 측은 박 상무의 이같은 파상공세에 맞서기 위한 반격 카드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사회에서 박 회장 측이 어떤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제시할지 관심이 쏠린다. 이는 표대결을 앞두고 우호지분을 확보하기 위한 사전정지 작업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실제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연금뿐 아니라 소액주주 중 30%가량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되는 블랙록 등 해외 기관투자자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지난달 26일 기준 박찬구 회장(6.69%) 이외 아들인 박준경 전무(7.17%), 딸 박주형 상무(0.98%) 등 우호지분은 14.86%로 박 상무보다 4.86%포인트 높다.
업계 관계자는 “박 회장과 박 상무의 지분율 차이가 크지 않아 국민연금 등 기관투자자들이 누구를 지지하느냐에 따라 경영권이 좌우될 수 있다”며 “반면 소액주주의 경우 소수 지분으로 흩어져 있어 단기간 내 유의미한 의결권 확보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