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 런던을 방문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과의 조찬 회동에 앞서 ‘주한미군 주둔이 미국의 국가안보 이익에 부합한다고 보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건 토론해볼 수 있는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그러면서 “나는 양쪽 모두로 주장할 수 있다”며 “하지만, 우리가 주한미군을 그렇게 (주둔)하려면 그들(한국)은 더 공정하게 (방위비를) 부담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처음으로 ‘주한미군 주둔’을 지렛대로 한국 측에 방위비 인상 압박에 나선 셈이다.
더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측이 분담금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진 50억달러를 직접 언급하진 않았지만, 미국이 한국을 보호하는 데 엄청난 돈을 쓰고 있는 만큼, “우리는 그들(한국)이 상당히 더 내는 게 공정하다고 본다”고 거듭 힘줘 말했다.
이와 관련, 이날부터 이틀간 진행되는 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을 위한 4차 회의에 참석하고자 전날(4일) 방미(訪美)한 정 대사는 이날 미 워싱턴DC 국무부 청사 앞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여러 번 원칙론적인 방위비 인상에 대한 문제를 말했기 때문에 (이번 발언이) 추가적인 상황 변화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협상 재개를 목전에 두고 트럼프 대통령의 노골적인 증액 압박이 자칫 우리 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주한미군 철수’ 발언을 계기로 미국 측은 협상에서 더욱 우리 측을 강하게 밀어붙일 가능성이 점쳐진다. 앞서 지난달 18~19일 서울서 열린 3차 회의에서 미 국무부 정치군사국 선임보좌관인 제임스 드하트를 수석대표로 협상 시작 약 80분 만에 자리를 박차고 일어선 바 있다. 당시 드하트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한국 측에 재고의 시간을 주기 위해 오늘 회담 참여를 중단했다”며 “양측이 협력할 수 있는 새 제안을 (한국 측이) 내놓기를 희망한다”고 압박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