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잇단 부동산 대책으로 서울 매매시장이 ‘눈치 보기’에 들어가면서 이제 관심사는 전세시장으로 쏠리고 있다. 집을 사려던 사람이 매매 대신 전세로 눈을 돌리면서 그렇잖아도 반등 조짐을 보이던 서울 전셋값이 더 오를 수 있어서다.
|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셋값은 이미 뒷걸음질을 멈췄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전월보다 0.3% 올랐다. 3월 하락세로 돌아서며 넉 달 연속 내리다가 7월 보합을 기록한 끝에 보인 반등이었다. 9월에도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비 0.4%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들어 내림세를 면치 못하던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도 9월 들어 보합으로 돌아섰다. 이는 연초부터 지난달까지 2.51% 하락한 지방권 아파트 전세가격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이제 전셋값의 향방은 각종 세금을 강화하고 다주택자의 대출마저 막으며 무주택자를 비롯한 실수요자 위주로 시장을 재편한 9·13 대책 여파에 달려있다.
지난해 8·2 대책 이후 집값 상승세를 예견했던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9·13 대책에 대해 “다주택자의 수요를 조여 결국 임대주택 공급을 줄이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라며 “수도권에서 상당기간 전셋값이 매매값보다 더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더욱이 전세 수요자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은 크다. 9·13 대책 이후 집값 급등세가 잠잠해졌고, 불안감에 추격 ‘사자’에 나섰던 매수인도 시장 분위기를 살피고 있다. 정부가 9·21 대책에서 발표한 수도권 내 3기 신도시나 신혼부부 희망타운에 입주하려면 무주택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들 모두 집을 매수하기보단 빌릴 수 있다는 쪽에 무게를 두는 요인이다.
|
일각에서는 전셋값이 오르더라도 일부 지역에 한정되는 국지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늘어난 수요를 충족할 만큼 입주 물량이 받쳐주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만 아파트 3만5516가구가 입주할 예정이다. 이는 국토교통부가 집계한 지난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인 2만9833가구보다 19% 늘어난 수준이다. 내년과 2020년에도 각각 4만2607가구, 4만1977가구로 집들이할 계획이다. 수도권 역시 올해 22만4745가구, 내년 18만397가구 등 입주물량이 20만가구 안팎을 유지할 전망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WM투자자문부 수석전문위원은 “전세시장 불안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는 조정기 전세로 수요가 몰릴 수 있다는 것과 무주택자에 대한 청약 우선 배정으로 무주택 자격을 유지하려는 수요가 늘어난다는 것”이라면서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입주물량이 많아 전셋값이 강보합 정도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은 “아직 매매시장에서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지면서 전세시장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일 것”이라며 “재건축 이주수요가 있는 잠원과 반포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전셋값이 불안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