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당국의 수장이 발등에 떨어진 불을 끄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총력을 쏟아도 모자랄 판에 다른 곳에 책임을 떠넘기기 급급한 태도를 보인 탓이다.
김 장관은 ‘반(反) 환경’ 디자인 논란에 휩싸인 아리수 페트병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대뜸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을 먹을 수 있는데 굳이 왜 페트병에 넣어 먹어야 하나”며 “서울시가 아리수 페트병 자체를 생산하지 말아야 한다”고 답했다.
“페트병에 든 물은 마시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문화”라는 말까지 덧붙였다.
이어 한 발언은 논란을 더욱 가중시켰다. 그는 재활용 쓰레기 대란과 관련한 질문에 “1차적 책임이 기초자치단체에 있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국무회의에서 환경부를 꾸지람한 것도 왜 지자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느냐였다”고 했다.
결국 답변을 듣던 진행자가 “이건 (국민과 지자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것처럼 들릴 수 있다”고 제지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이같은 발언에 김 장관과 함께 환경운동을 함께 했던 환경시민단체 관계자들조차 실망스럽다는 반응이다.
한 환경단체 활동가는 “지자체에 책임을 떠넘기는 것도 모자라 페트병을 소비하는 국민들에게까지 책임을 떠넘기는 발언”이라며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 해결의지라곤 느껴볼 수 없던 무책임한 인터뷰였다”고 했다.
다른 환경 현안에서도 ‘무책임’과 ‘2중대’라는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환경부는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리자 ‘봄철 미세먼지 추가대책’을 발표했으나 ‘재탕’ 논란만 자초했다.
김 장관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환경부의 환골탈태를 강조하며 “환경부가 힘 없는 부처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고 했다. “환경부가 환경가치를 지키고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역할을 다하지 못해왔다는 자성(自省)”이라며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김 장관에게 묻고 싶다. 부처 구성원들에게 환골탈태를 요구한 6개월 간 김 장관은 대체 무엇을 했는 지다.
정책 당국 수장의 면모를 보여야 할 김 장관의 언행이 여전히 시민단체 활동가 시절에 머물러 있다는 게 환경부 안팎의 인식이다. 국민이 장관에게 요구하는 것은 환경단체 활동가의 비판 의식이 아닌 과감한 결단력과 추진력을 보여줄 수 있는 리더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