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⑦]해외서도 바람 거세다

정병묵 기자I 2016.10.07 05:04:23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


[이데일리 정병묵 기자] 미국의 시러큐스시는 데이터 및 분석 전문 지식을 활용해 뉴욕 최초의 토지 은행을 설립했다. 이로 인해 시는 약 4000개의 비어 있는 건물에 대한 소유권을 회수, 용도 변경해 8년 동안 1100만 달러에 이르는 과세표준을 회복했다. 글로벌 IT 기업 IBM의 기술을 통해 실제 시 운영과 접목, 세수를 늘린 모범 사례로 꼽힌다.

해외에서도 스마트시티 바람이 거세다. IBM은 ‘스마터(Smarter) 시티 챌린지’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국 스마트시티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대표 기업이다. 각국 도시에서 직면하고 있는 주요 과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IBM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2010년 이후 지금까지 전세계 116개 도시에서 본 프로그램이 완료되었으며, 현재까지 5500만달러 이상의 컨설팅 서비스가 투입됐다.

실제 이 프로그램에 따라 호주 타운즈빌은 물의 똑똑한 사용을 돕는 ‘스마트 워터 파일럿 프로젝트’를 통해 물 소비를 줄인 것을 인정받아 ‘세계 스마트 인프라 어워드’를 작년 수상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츠와니는 시민이 문자로 누수 현상을 보고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를 개시, 수자원 보급경로와 연계해 누적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시장 2023년 275억불로 성장

네비건트(Navigant) 리서치의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 시티 기술 시장은 2014년 88억달러에서 2023년 275억달러로 성장을 예고하고 있다. 마켓츠앤마켓츠의 최근 자료를 보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글로벌 시장은 4113억달러 규모에서 1조1348억달러 규모로 같은 기간 22.5%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네비건트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도시와 관련된 전 세계 170개의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80%는 에너지, 교통, 정부 서비스와 관련된 것이고, 50% 이상이 교통, 45%는 에너지 관련된 프로젝트이다. 시장조사기관 IDC는 2013년 세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약 70%가 에너지, 교통, 안전 등 3대 스마트시티 요소에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도시 전체를 뜯어 고치는 수준의 스마트 시티 사업은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독일 함부르크 하펜시티는 옛 항만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도시재생사업을 펼치고 있다. 항구도시라는 함부르크의 현재 여건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에 초점을 두고 항만 운영 및 물류 교통 관리에 스마트시스템 구축 중이다.

레이더 및 센서 기반 물류선 관제 시스템, 지능형 통합 교통관리, 스마트 시스템 적용 쓰레기통, 전기차 적극 도입 등이 하펜시티 스마트시티 사업 주요 내용이다.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페인…유럽 중심으로 활발

오스트리아 빈 아스페른은 지속적인 인구 증가 해결과 친환경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스마트시티를 조성 중이다.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감축, 에너지 효율성 제고, 신재생 에너지 생산 등 에너지 사용 최소화를 통해 쾌적한 환경의 도시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프랑스 일드 프랑스주에 위치한 샤클레 연합대학은 실리콘밸리와 유사한 글로벌 대학 클러스터 지역. 현재 11개 교육기관, 7개 연구기관 등이 입주한 대규모 단지인데, 스마트 주차장 사용앱, 건축물 열공급 시스템 등이 적용된 프랑스의 대표 스마트시티다. 이곳에 입주한 연구소도 에너지, 신기술, 자동차 등을 집중 연구해 직접 도시에 적용하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도시 계획, 생태학, 정보 기술을 통합해 기술의 혜택이 모든 이웃에게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바르셀로나의 접근 방식은 하이퍼 커넥티드, 초고속, 배출가스 제로인 메트로폴리스 내에서 생산적이고 인간 중심의 이웃을 구축하는 장기 비전을 추진하는 것이다. 시의 새로운 이니셔티브는 향후 10년 동안 30억 유로를 절감하게 할 것으로 본다.

바르셀로나는 이미 지난 2012년 원격 제어가 가능한 도로 수준의 조명을 포함한 마스터 플랜을 세웠다. 50가지 도로에 1155개의 가로등을 LED 기술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가로등은 와이파이 라우터 역할을 하는 동시에 소음 수준, 공기 오염도를 통해 인구 밀집도까지 파악한다.

캐나다 밴쿠버는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녹색 도시로 만들고자 탄소배출, 쓰레기, 에코시스템의 3대 핵심 영역을 제시하고 있다. 10개의 목표 영역이 있으며 각각 2020년을 기준으로 타깃 기준을 제시 하고 있다. 모든 과제의 진행과 결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시 의회에 보고하고 있다. 또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 3만5000명의 시민이 온라인이나 워크숍, 이벤트를 통해서 의견을 제시하게 했다. 계획 수립에는 60명의 시 공무원, 120개 기관, 수천 명의 시민이 참여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나 지자체에게 이런 해외사례는 단순 참고용이다. 국내에 그대로 접목하는 것은 위험성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 스마트시티 사업을 진행 중인 고양시 관계자는 “기투자된 스마트 시스템을 최대한 활용해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하고 효과는 최대화하는 게 선진국가의 특징”이라며 “해외 우수사례를 벤치마킹해 국내 최고의 스마트시티를 만들겠지만 그대로 도입하는 것은 지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또한 “한국은 추진중인 지자체들이 서로 경쟁하다보니 양적인 면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아무리 인공지능이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최첨단 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이라 하더라도 4차산업 혁명과 스마트시티를 효과적으로 융합하지 않으면 열매를 못딸 가능성이 크고, 결국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떠오른 스마트시티에서 성공은 커녕 실패를 맛보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