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맥도날드 측은 초기 조사 결과 쿼터파운더에 사용된 양파가 식중독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하며 얇게 썬 양파를 음식에서 제외했다.
한국맥도날드는 “해당 이슈는 미국에서 발생한 사고로 한국맥도날드와는 무관하다”며 “현재 100% 국내산 양파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 해썹(HACCP·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시스템에 따라 철저히 관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과거 국내에서 이른바 ‘햄버거병’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전례가 있어 제품 안전성 논란이 재점화할 가능성도 있다. 2017년 한 소비자는 자녀가 덜 익은 패티가 들어간 햄버거를 먹고 ‘햄버거병’이라 불리는 용혈성 요독 증후군에 걸려 신장 장애 2급 판정을 받았다며 한국맥도날드를 식품위생법 위반 등 혐의로 고소한 바 있다. 이후 비슷한 증상을 주장하는 이들이 늘면서 햄버거병 논란이 일었다. 당시 검찰은 맥도날드 햄버거와 질병 간 인과 관계를 인정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지만 이후 맥도날드에 오염된 패티를 공급한 업체가 적발되고 시민단체가 고발·항소에 나서면서 맥도날드 햄버거에 대한 불신은 여전히 남아있는 상태다.
외국계 피자운영사인 한국파파존스 역시 본사 정책을 고수하다가 과징금 폭탄을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24일 가맹사업법을 위반한 파파존스에 과징금 14억 8200만원을 부과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파파존스는 지난 2015년 7월부터 현재까지 정보공개서와 가맹계약서를 근거로 손세정제, 주방세제 등 세척용품 15종을 필수품목으로 지정했다. 가맹점주에게는 해당 품목을 가맹본부로부터 구입토록 거래처를 제한했다. 본사가 10년 가까이 세척용품 15개를 공급하며 얻은 총 매출액은 5억 4700만원 규모로 조사됐다. 또 파파존스는 지난 2015년 8월부터 2022년 4월까지 가맹점 22곳에 매장 리모델링을 요구하고도 법정 가맹본부 부담 리모델링 비용을 가맹점주에게 지급하지 않았다. 이번 파파존스에 대한 과징금은 가맹사업법 시행 이후 두번째로 큰 규모다.
업계에서는 두 업체 모두 대체할 만한 경쟁업체가 별로 없다는 점에서 이번 이슈로부터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과거 피자헛이 가맹점 갑질 논란과 불공정 거래 이슈에 휩싸이면서 브랜드이미지가 실추되면서 수익성이 악화한 것처럼 가볍게 볼 사안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한국맥도날드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이 회사는 연간 매출액 1조 1181억 원을 기록했다. 다만 수익성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203억원으로 전년대비 75억원 가량 감소했지만 적자는 이어지고 있다. 한국맥도날드는 2019년부터 5년째 영업손실을 기록 중이다.
한국파파존스 역시 지난해 매출액이 681억원으로 전년대비 2.4%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42억원으로 전년(48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두 회사 모두 외형은 확대되고 있지만 수익성은 크게 악화하는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