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은 5대 금융지주(KB금융·신한금융·하나금융·우리금융·NH농협금융) 중 유일하게 보험사를 보유하고 있지 않다. 비은행 강화를 외치던 우리금융이 올해 한국포스증권을 인수해 우리투자증권으로 출범시킨 만큼, 보험사 인수는 우리금융의 유일한 숙원 사업 중 하나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동시에 인수하면 우리금융은 단숨에 자산 6위권 생보사를 보유하게 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수백억원대 부정 대출로 우리금융의 M&A 계획이 차질을 빚을 거란 우려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1일 우리은행에 대한 수시검사 결과 손 전 회장의 친인척 관련 법인과 개입사업자에게 최근 4년간 616억원 규모 대출이 집행됐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논란이 된 대출은 손 전 회장이 지주 회장으로 재직할 당시 취급됐다. 이 가운데 350억원은 통상적인 절차를 따르지 않은 부정대출로 드러났다. 우리은행은 자체 검사를 통해 지난 1분기 해당 대출과 관련된 임직원 등에게 면직 등의 제재 조치를 진행했지만, 손 전 회장의 연루 여부에 따라 향후 금융지주 제재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현행법상 금융사가 다른 금융사 최대주주가 되려면 최근 1년간 기관경고 조치를 받은 내역이 없어야 한다.
우리금융이 당초 계획보다 SPA 체결을 서두르는 이유는 기관 제재 이전에 인수를 마무리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우리금융은 SPA 체결 이후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해야 보험사 인수를 마무리할 수 있다. 통상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 소요되는 시간은 신청일로부터 3~6개월이기에 가급적 빨리 대주주 변경 승인 신청을 내야 한다.
문제는 금융당국이 이번 사안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 대출을 취급한 건 우리은행이지만, 금융지주가 기관 제재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 대주주 적격성 심사 기한이 길어질 경우 매각 작업이 올스톱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KDB생명의 경우 2020년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SPA를 체결했으나 금융당국이 2년 넘게 대주주 적격성 심사 결과를 발표하지 않으면서 결국 매각이 무산된 바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금융사 M&A 과정에서 대주주 적격성 심사는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다 . 무난하게 심사를 통과하는 경우가 많지만, 해당 문턱을 끝내 넘지 못하는 사례도 있다”며 “당국의 추가 제재가 언제 어떻게 이뤄질 지에 따라 변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