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대형 세수부족 상황에서도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을 검토한 까닭은 치솟은 국제유가에 따른 물가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정부가 이날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3.7% 상승, 지난 4월(3.7%) 이후 5개월 만에 최대폭 상승했다. 또 2월부터 7월부터 둔화했던 물가는 8·9월 연속 상승폭을 키우며 2개월 연속 올랐다.
정부는 8·9월 물가상승 원인을 국제유가 상승이 석유류 가격을 자극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실제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였던 7월은 석유류 물가가 전년대비 25.9%나 하락하며 물가 둔화세를 이끌었으나, 국제유가가 90달러를 넘어선 9월 석유류 물가는 전년 대비 4.9% 하락에 그쳤다. 국제 유가의 고공행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유류세 인하가 종료될 경우 물가 상승폭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다만 정부는 10월에는 소비자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했다. 국제유가와 함께 물가상승을 부추겼던 농산물 수급이 안정화되고,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소폭 하락 또는 보합세를 보이면서 안정국면에 진입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국제유가가 현재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11~12월에는 2%후반대의 물가상승률도 기대할 수 있다고 봤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동절기 진입에 따른 국제원유가 상승 가능성, 미국 금리 인상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10~12월 물가가 현재와 비슷한 수준인 3% 후반대에서 유지될 가능성을 높게 봤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국제원유 가격이나 환율에 따라 물가 상승률이 3%대에 있을 지 아니면 4%대로 올라갈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라며 “국제유가가 100달러 선에 있다면 물가가 4%대까진 아니더라도 3%대 후반에서 움직일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만약 물가가 4%대로 오른다면 이후 금리인상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발생할 수 있기에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도 연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