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과 삼성 준감위는 삼성 전반의 지배구조 로드맵을 만드는 방안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이 지난해 5월 4세 승계를 포기하겠다고 선언했지만 당장 전문경영인 체제로 변화를 주긴 어려운 만큼 이 부회장을 측면 지원할 조직 설립이 불가피하다는 재계 전반의 분석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2017년 미전실 해체 이후 이사회 중심의 경영이 이뤄지고 있지만 삼성의 규모·위상 등을 고려했을 때 제대로 된 지원조직 없이는 한계에 봉착할 것”이라고 했다. 탈(脫) 탄소·반도체 대전 등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환경에서 대규모 투자 등 의사결정이 필수인데, 작금의 한시적인 계열사별 각자도생 체제로는 발 빠른 대응이 쉽지 않다는 의미다.
여기에 전자·금융·물산 등 성격이 다른 59개 계열사(국내) 간 시너지를 내기 어려운 점도 현 이사회 경영체계의 문제점 중 하나라는 분석도 적잖다.
새 지원조직의 틀이 짜여지면 준법경영에 대한 안팎의 감시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준법위는 새 컨트롤타워 내 별도의 컴플라이언스 조직을 두고 밖에선 준법위가 감시토록 하는 일종의 ‘2중 견제장치’를 둘 것이란 게 재계의 관측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과거 미전실에도, 지금의 사업재편 TF에도 경영관련 인력만 두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과거 조선 시대 왕 옆에 충고·비판을 담당했던 사간원 관리를 뒀고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의 잭 웰치 전 회장이 항상 준법경영 변호사를 대동했던 것처럼 삼성 역시 오너 지근거리에 준법 조직을 두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