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이데일리 이정훈 특파원]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이 사상 처음으로 최고등급인 `AAA`에서 한 단계 강등됐다.
국가 신용도가 떨어지면서 미국 정부가 부담해야하는 자금 조달비용이 늘어나고 주식과 국채, 달러 등 주요 자산가격이 하락압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5일(현지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사가 5일(현지시간) 처음으로 미국의 국가 신용등급을 종전 `AAA`에서 `AA+`로 한 단계 강등했다. 또 등급 전망은 `부정적(negative)`으로 유지했다. 이는 추가적인 등급 하향 조정이 향후 12~18개월 내에 가능하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미국은 앞으로 영국과 독일, 프랑스, 캐나다 등 4개국보다 낮은 신용도로, 이들보다 높은 이자비용을 부담해야만 자금 조달이 가능해지게 됐다.
JP모간체이스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의 국가신용등급이 `AA+`로 한 단계 떨어지면서 국채수익률이 60~70bp(0.6~0.7%포인트)만큼 올라갈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미국정부는 국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으로 총 4140억달러를 썼다. 전체 국내총생산(GDP)의 2.7%에 해당하는 엄청난 규모다. JP모간체이스의 추정대로 국채금리가 뛴다면 단순히 계산해도 한 해 1000억달러 정도의 조달비용이 더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민들이 부담해야 하는 이자비용도 덩달아 커지게 된다. 주택모기지나 자동차 대출, 기타 대부분 대출 이자가 대부분 국채수익률에 연동돼 있다. 국채금리가 뛰면 대출금리도 높아지게 된다.
가장 우려스러운 대목은 금융시장 혼란이다.
미국 더블딥 우려와 유럽 재정위기 확산 우려로 가뜩이나 불안한 주식시장은 미국의 등급 강등이라는 상징적 의미만으로도 충분히 추가 하락할 수 있을 만큼 취약한 상태다.
국채시장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특히 이번 S&P의 등급 강등 조치는 해외 채권자들에게 우려를 낳을 수 있다.
미국 국채를 1조달러 이상 보유하고 있는 `큰 손` 중국은 이미 여러 차례 미국 정부에 재정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해왔다.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는 달러화 자산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실제 크레디트스위스(CS)는 이번 등급 강등으로 뱅크오브아메리카(BoA)-메릴린치 인덱스 기준으로 미 국채 평균금리가 70bp 정도 뛸 것으로 추정했다.
LPL파이낸셜의 앤서니 발레리 스트래티지스트 역시 "당장 금리가 크게 뛰진 않겠지만, 상당기간 미국 국채 크레딧의 질에 대한 압박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달러화 가치 하락도 가능한 시나리오다. 이례적으로 낮은 기준금리와 더딘 경제성장, 투자 다변화를 위한 외국인 투자자금의 달러화자산 이탈에다 국가신용등급 강등까지 겹쳐 달러화는 더이상 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다만 미 국채나 달러화는 여전히 대체 투자처가 거의 없는 대표적 안전자산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투매가 없을 것이고, 따라서 가치 하락도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칼 랜츠 CS 스트래티지스트도 "미 국채와 달러 가치가 떨어진다고 해도 투자자들이 이 자산을 팔고 난 뒤 투자할 수 있는 다른 안전자산이 없는 상태"라며 "등급 강등으로 일시 하락한 뒤 재차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