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플라스틱 소비자 신뢰 가장중요…재활용 산업 칸막이 거둬야"

김경은 기자I 2024.01.22 06:00:00

■[이제는 무탄소경제(CFE)]폐플라스틱③
장용철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인터뷰
영세 재활용 산업 통폐합 등 고도화 추진 필요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이미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여러 국가들은 재활용 원료를 의무적으로 사용키로 하면서 재생원료를 사용한 플라스틱 제품을 더 쉽게 찾을 수 있게 됐습니다.”

장용철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21일 이데일리와 전화인터뷰에서 우리나라의 재활용 원료 순환을 위한 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 선결 조건 중 하나인 재생원료 시장을 빠르게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며 이렇게 밝혔다.

가장 큰 걸림돌은 재생원료 사용에 대한 우리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이다. 장 교수는 “소비자들의 인식이 재생원료에 대한 거부감이 있어 인식제고가 필요하다”며 “탄소중립과 친환경 소비 실천에 중요한 방법이란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제대로 된 재활용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경우 독성성분 검출 등 안전성 문제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여러 연구 논문에 의하면 폐플라스틱은 살충제·살생물제 성분, 유해한 플라스틱 첨가물 등 화학물질 오염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장 교수는 인증 절차와 주기적 모니터링을 통해 재활용 유해성분 검출 여부에 대한 정부의 감시체계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선진국에선 재생원료만 100% 적용된 제품이 흔한 상황으로, 민간의 인증 시스템을 통해 안전성 검증을 하고 있다”며 “식품용이나 접촉민감성이 높은 제품은 강화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가이드라인이나 인증체계가 마련돼 있지 않은 상태다. 즉, 선진국처럼 재생원료 시장 확대를 위한 사용 의무화와 더불어 품질 기준과 안전성을 확보할 방안 담보하도록 동시에 체계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국내 폐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을 영세한 중소기업에 의존하지 않고 공정 전환을 통해 대기업과 함께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그는 역설했다.

장 교수는 “대기업과 공동투자를 하는 등 상생방안을 찾아야 폐플라스틱 산업 자체의 파이가 커진다”며 “현재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칸막이를 쳐놓고 담당을 구분하는 것은 장기적 측면에서 국제적 흐름에 도태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약이 현재로선 담당영역을 구분해 대기업의 재활용 산업 투자를 막고 있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상생협약을 넘어 전략적 파트너로써 재활용 산업의 통폐합과 투자확대를 통한 혁신기술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는 얘기다.

장 교수는 전환 과정에서 불거질 수 있는 영세한 중소기업의 도태 우려에 대해선 일자리 보장 및 전환 지원 등을 통해 충격을 완화하면 된다고 조언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