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안에는 ‘단계적 퇴출’ 대신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 달성을 위해 화석연료의 소비 및 생산을 공정하고 정돈된, 그리고 공평한 방식으로 줄이는 등 8개의 선택지가 포함됐다.
구체적으로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현재의 3배로 늘리거나, 배출가스 저감 장치없는(unabated) 석탄 화력발전소의 신속한 폐기와 신규 허가 제한, 대기 중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CCS) 확충 등이다.
아울러 재생에너지나 원자력, 탄소 저감·제거 등 탄소 배출이 없거나 낮은 기술을 가속한다거나 비효율적인 화석연료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안도 제시됐다.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등 대규모 석유 및 가스생산국과 유럽연합, 도서국가를 포함한 100개 이상 국가로 구성된 연합은 화석연료의 단계적 퇴출 문구가 포함되길 원했다. 지난 30년간 유엔 정상회의에서 달성하지 못한 목표지만, 최근 기후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보다 명확한 목표치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은 이에 반대해왔으며, 의장국인 UAE에 관련 문구를 배제하라는 압력을 가했고 이 문구가 빠진 것으로 전해진다.
2년 전 COP26에선 석탄에 한정해 퇴출 대신 ‘단계적 감축’하기로 합의했고 COP27에선 이 감축 대상을 배출가스 저감장치가 없는 석유와 가스 등 모든 화석연료로 확대하는 안이 논의됐으나 불발됐다.
미 국무부는 성명에서 “다양한 이해관계 균형을 맞추기 위한 COP28의 노고에 감사드린다”며 “동시에 화석연료를 포함한 완화된 문구는 상당히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EU의 수석협상카 웝크 훅스트라는 “합의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다양한 요소를 모두 검토하고 있다”면서 “(이번 합의 초안은) 전반적으로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에 분명히 불충분하고 적절하지 않다”고 했다.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받고 있는 태평양 섬나라 사모아와 마셜제도의 대표들은 이 초안이 “사형선고와 같다”고 비난했다. 마셜제도 대표단장인 존 실크는 “우리는 조용히 물에 잠기는 무덤으로 가지 않을 것이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