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론적으로는 아무 영향도 미치지 못하게 됐지만, 40%라는 찬성표가 가지는 의미는 그리 가볍지 않다. 이를 주도한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도 “전당사(史)에 있어 유례가 없는 일”이라고 밝혔 듯 현역 의원들의 일괄 사퇴를 요구했다는 사안 자체와 당원의 상당수가 이를 찬성했다는 것은 비례대표들의 향후 정치 행보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당원 총투표가 이뤄지기까지의 정의당의 궤적을 보면 문제는 더 심각하다. 지난 3월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가 얻은 득표율은 2.37%, 직전 대선의 결과(6.17%)에 비하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아울러 지난 6월 지방선거에서는 7명의 광역단체장 후보 전원이 이렇다할 성적을 내지 못했고, 광역·기초의원에서도 9석을 얻는데 그쳤다. 직전 지방선거에서 37명의 광역·기초의원 당선자를 배출한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을 초래한 원인 중 하나가 정의당의 간판격인 비례대표들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고, 당 지도부뿐만 아니라 이들 비례대표도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 총사퇴 권고안을 발의한 측의 주장이었다. 이대로라면 정의당의 존재감이 더 사라져 대중의 외면을 받는 정당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비례대표 총 사퇴’라는 극약 처방을 통해서라도 쇄신의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주장이 전혀 맥락이 없는 것이 아니다. 선거 성적이 아닌 최근 여론조사 결과를 봐도 정의당의 위기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 5일 발표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정의당의 정당 지지도는 3.6%다. 이 조사의 표본오차가 ±2.0%포인트라는 점을 고려하면 최저 1%대 지지도를 기록하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구체적인 내용은 리얼미터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의원 5명의 명단이 바뀔 수도 있는 초대형 이슈가 터져나왔음에도 국민들의 관심을 전혀 끌지 못한 셈이다.
총투표 결과가 나온 뒤 이은주·장혜영·류호정·배진교·강은미 의원 등 정의당 비례대표 5인은 기자회견을 열고 “비 온 뒤에 땅이 굳듯 성찰을 통해 더 나아가겠다. 당을 더 단단하게 통합하고 더 나은 혁신과 재창당으로 나아가는 데에 주어진 책임을 다하겠다”고 쇄신의 의지를 밝혔고, 심상정 의원도 “이제 의원단이 분골쇄신의 각오로 당을 위해 헌신하는 일만 남았다”고 했다.
한편 정의당은 오는 17일 예정된 정기당대회에서 ‘재창당 결의안’을 의결하고, 다음달 중순 새로운 지도부를 선출해 반전의 계기를 만들겠다는 의지를 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