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청년은]위기청소년 조기 발굴·지원에 팔 걷은 정부

이지현 기자I 2020.06.12 00:04:00

청소년상담복지센터 1388 청소년전화 운영 등 추경 반영
청소년 위기상황 점검 개선위해 지역사회 움직이기 시작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위기 청소년이 위기 청년으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조기 발견·개입이 최선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상처가 곪아 터지기 전에 치료받을 수 있도록 작은 위험신호에도 즉각적으로 개입 가능한 사회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는 청소년안전망사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를 위해 지난해 5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역사회 위기청소년 지원 강화방안을 마련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11일 여성가족부에 따르면 전국 시·도, 시·군·구 235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운영하는 1388 청소년전화 등을 통한 청소년 상담건수는 2017년 86만2000건에서 2018년 90만2000건으로 2년만에 4만건 늘었다. 많은 상담이 일회성에 그치기도 하지만 긴급 개입이 필요한 경우도 늘고 있다. 청소년안전망 서비스 제공건수는 328만건으로 2017년(256만건)과 비교해 72만건 늘었다.

긴급개입 요구가 이같이 늘고 있지만 현장에서 시스템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청소년안전망 운영은 법률상 지자체장의 책무로 규정됐지만, 대부분 청소년 상담복지센터에 업무위탁을 맡기는 수준에 그치다 보니 현장에서 지자체장을 중심으로 한 유관기관 협업이 잘 이뤄지지 않았다.

위기청소년 현황
정부는 지자체 중심 운영 체계인 청소년안전망팀을 구축해 도움을 필요로하는 청소년이 체계적인 시스템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을 손질했다. 현재 서울 강서구와 노원구, 송파구, 부산 사하구, 울산 남구, 경기 수원, 파주, 군포, 전북 부안군 등 9개 지자체에는 전담공무원 2인과 사례관리사 2~3명을 한팀으로 한 청소년안전망팀이 가동되고 있다. 이들은 발굴된 위기청소년에 대한 사례관리를 통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 지 등을 점검하고 주거지원과 의료지원, 고용지원 등을 통해 위기상황을 벗어날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해주고 있다.

서비스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유관기관과의 협업도 강화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위기청소년 선제적 발굴을 위해 경찰청과 여성가족부가 업무협약을 맺고 경찰청 선도프로그램을 수료한 범죄·비행 청소년에게 맞춤형 지원을 하고 있다.

자살·자해 등 고위기 청소년 맞춤형 상담프로그램도 개발해 보급하고 있다. 경기 파주시의 경우 지역특화사업인 ‘카운슬러대학’과 연계해 고위기청소년 상담과 지역사회 전문가를 활용한 멘토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 노원구는 학업중단 위기 청소년에게 등교도움 서비스를 제공해 학교 부적응을 방지하고 등굣길 상담지원을 통해 위기문제를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있다.

부산 사하구는 자살행동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와 자녀 통합 상담과 협동활동 등을 진행하는 자살 행동 심리지원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에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상담원 20명 증원을 위함 비용 2억1800억원을 증원했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이용 빈도가 높은 SNS, 인터넷 카페 등 온라인매체에서의 정례적 아웃리치 활동을 통해 온라인상의 유해매체 및 정보로부터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공적 보호체계로 위기청소년 유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김희경 여성가족부 차관은 “가정·학교·사회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이 미래의 주역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선도 사업이 든든한 울타리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