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기금으로 가계부채 족쇄 푼다

김춘동 기자I 2012.12.27 07:30:00

금융채무 불이행자 채무 최대 70%까지 감면
형평성 논란, 도덕적 해이가 가장 큰 걸림돌
[근혜노믹스-가계부채 해법]

[이데일리 김춘동 기자] 1000조 원을 넘나드는 가계부채 문제는 우리 경제의 시한폭탄이자 민간소비 회복을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다. 그래서 가계부채 해결은 중산층 복원을 위한 첫 단추이자 차기 정부의 핵심과제로 꼽힌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의 가계부채 해법은 18조 원 규모의 국민행복기금이다. 이 돈으로 빚을 탕감해주거나 저금리 장기 분할상환을 유도해 신용회복을 지원하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박 당선인의 구상은 당장 빚을 성실하게 갚고 있는 채무자들과의 형평성 문제와 함께 도덕적 해이 논란에 부딪힐 전망이다. 사실상 공적자금으로 과연 개인의 빚을 갚아줘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 과정도 필요해 보인다.

◇ 가계부채 해법이 경제공약 핵심

가계부채 해법은 박 당선인의 여덟 가지 경제분야 공약 가운데 가장 정점에 있다. 박 당선인의 해법은 금융채무 불이행자는 원리금 감면과 상환기간 연장으로 빚의 늪에서 구해주고, 다른 한편으론 선제적 채무재조정으로 신용회복을 지원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 중심엔 18조 원 규모의 국민행복기금이 있다.

구체적으론 이 기금으로 금융회사로부터 연체채권을 사들여 일반인은 최대 50%, 기초생활수급자는 70%까지 빚을 탕감해주게 된다. 현재 신용회복위원회의 개인 신용회복 과정에서 적용되는 탕감 비율이 30~40% 선임을 고려할 때 아주 높은 수준이다.

내년에만 120만 명의 연체채권 12조 원 어치를 매입하고, 이후 매년 약 6만 명씩 5년간 30만 명의 경제적 재기를 지원한다는 게 박 당선인의 구상이다. 서민들의 고금리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1인당 1000만 원 한도 내에서 20%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10%대 저금리 장기대출로 전환해주는 프로그램도 한시적으로 운영한다.

◇ 선제적 채무재조정 프로그램도 가동

선제적 채무재조정 프로그램도 가동한다. 현재 신용회복복위원회가 운영 중인 프리워크아웃 적용 대상을 기존 채무불이행 기간 연속 30일 초과 90일 미만에서 1년 이내 연체일수 총 1개월 이하로 확대할 계획이다.

연체가 없더라도 총부채상환비율(DTI)이 60% 이상이거나 40~60% 중 사정이 어려운 경우를 선별해 금리 인하와 상환기간 연장을 추진한다. 대학 졸업자들이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빚의 수렁에 빠지지 않도록 학자금 대출 역시 상환능력에 따라 원금의 50%까지 감면해주거나 장기 분할상환을 유도한다.

금융회사들이 배드뱅크 이외 기관에 채권을 매각하게 되면 의무적으로 채무자의 동의를 받도록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채무자 동의 없이 민간자산관리회사에 채권을 매각해 빚 독촉에 시달리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차원이다. 학자금 대출은 일정 기간 추심을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연체된 학자금 대출을 일괄 매입해 취업 후 상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이다.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을 받은 채무자 183만 명중 105만 명에 대해선 아예 취업한 후에 상환할 수 있도록 조치하기로 했다.

◇ 형평성 논란·도덕적 해이 해결해야

박 당선인이 내건 가계부채 해법의 가장 큰 취약점은 형평성 논란과 도덕적 해이 문제다. 고의로 빚을 갚지 않으면 뾰족한 대책이 없고 국가의 재정부담은 계속 늘어나기 때문이다. 빚을 탕감해주더라도 일자리 마련 등 소득원이 보장되지 않으면 도루묵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성실하게 빚을 갚아온 대출자들은 상실감에 빠질 수도 있다. 국민행복기금이 정부의 재원으로 마련되는 일종의 공적자금이라는 점에서 결국 세금으로 빚을 갚아준다는 반발을 살 수도 있다.

금융권의 참여를 이끌어낼 유인책도 마땅치 않다. 이자감면과 만기연장, 저금리 전환대출 등은 금융권의 참여 없인 사실상 어렵다. 대출부실의 책임을 물어 손실을 부담시킬 순 있지만, 금융권의 수익성이 빠르게 나빠지고 있어 일방적으로 강요하긴 어렵다.

윤창현 금융연구원장은 “가계부채 문제는 다각적이면서도 점진적으로 풀어야 한다”며 “특히 도덕적 해이를 최소화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을 유지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