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올해 ‘대한민국최고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를 선정했다.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은 지난 2003년 제정된 이래 현택환 서울대 교수,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 박진수 전 LG화학 부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고문 등 46명이 수상한 명실상부한 우리나라 최고 권위의 상이다.
|
특히 박 교수는 후속 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포토볼타익스’라는 새로운 학문분야를 개척했고, 그의 연구를 기반으로 성균관대, 한국화학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고려대 등 국내 대학과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효율 향상을 주도해 현재 효율은 26.1%에 이르렀다. 그의 논문은 발표 직후 8300번(올해 4월 기준) 인용됐고, ‘노벨상 족집게’로 통하는 글로벌 조사분석 기업 클래리베이트는 7년 연속으로 그를 세계 상위 1% 연구자로 선정했다.
박 교수는 이번 수상 비결로 한 분야에만 집중해 온 부분을 꼽았다. 또 최근 폭염, 폭우 등 극한 기후가 빈번해지면서 과학계 대응도 필요한 가운데 태양전지 개발이 에너지믹스(에너지구성비율)과 조화를 이뤄 기후변화를 늦출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부분도 작용했다고 봤다.
그는 1997년 미국국립신재생에너지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태양전지 연구를 시작해 지금까지 태양전지 연구만 해왔다. 한 분야에 집중하면서 연구 전문성을 키웠고, 당시에는 무모할 수 있는 효율 증가 한계에 도전했다.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다 보니 새로운 물질 개발이 필요해 액체 대신 고체를 사용했고,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인 고체 페로브스키이트 태양전지 개발로 이어졌다. 이러한 도전들이 축적돼 세계 정상급 연구자로 우뚝 섰고, 올해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에도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이 삭감돼 큰 차질 없이 한 분야만 연구할 수 있었다.
다만, 박 교수도 고민이 있다고 털어놨다. 1960년생인 그도 은퇴가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다. 미국, 유럽 등의, 석학들이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은퇴한 70세, 80세까지 연구를 계속하면서 노벨상도 받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연구를 중단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이 같은 어려움에도 연구를 지속해 태양전지, 디스플레이 등에서 범용 기술로 쓰일 수 있는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는 게 그의 꿈이다. 그동안의 기초지식과 많은 양의 실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물질 개발에 도전하는 부분이 필요하고, 고경력 과학기술인이 시야가 넓어 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게 이유다.
박남규 교수는 이를 위해 대학부터 일부 석학 대상으로 70세, 80세까지 제한적으로라도 연구를 지속할수 있는 기회를 주고, 기회가 성과 보답으로 이어져 고경력 과학기술인 활용이 확산하길 기대했다.
박 교수는 “미국 등 선진국처럼 우수 석학 대상으로 정년 없는 과정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대학마다 제한적으로 시행해본뒤 ‘70~80세까지 연구할 기회를 줬더니 효과가 있구나’라고 생각하게 되면 점차 대상이 확대될 수 있다”며 “과학자에게 죽을 때까지 한번 해보라며 파격적인 기회를 줬으면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