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공채 대신 수시채용 취준생 늘렸다…서비스업 침체에 30대 女 직격탄

원다연 기자I 2021.06.15 05:30:00

취업준비자 89만명 역대 최대, 1년새 5.3만명↑
20~30대가 전체 89%, 30대서 증가 두드러져
산업구조 변하고 대기업 채용 형태도 달라져
"지방 정주여건 개선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해야"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의 구인 게시판.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원다연 최정훈 기자] 32살 중고 취업준비생인 진모씨는 아침 일찍 동네 도서관에 자리를 잡고 영어 인터넷 강의를 시작으로 하루 종일 취업 공부에 매달리고 있다. 진씨는 중소기업을 다니다 대기업 입사를 목표로 퇴사후 취업준비에 뛰어들었다. 그는 “때마침 주요 그룹들이 공채가 아닌 수시채용 형태로 전환한 탓에 언제 채용공고가 뜰지 몰라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취업준비생이 역대 최대다. 90만명에 육박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신규채용이 급감한 탓에 일자리를 찾지 못한 2년차 취업준비생들과 올해 새로 구직시장에 얼굴을 드러낸 신참 취업준비생들이 뒤섞인 탓이다. 고용한파가 조금씩 풀리고 있지만 청년 채용 문턱은 좀처럼 낮아지지 않는 이유다.

◇‘사실상 실업자’ 취업준비생 89만명 ‘역대 최대’

14일 이데일리가 통계청 고용동향과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준비생은 89만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해 7만명이 늘어난 수준으로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3년 이래 최대 규모다.

취업준비생은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취업을 위해 학원·기관 등에서 강의를 수강하거나 이외 취업 준비를 한 사람을 말한다. 취업준비생는 구직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고 비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된다. 그러나 취업준비 자체가 결국 구직활동에 해당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취업준비자의 증가는 ‘사실상 실업자’가 늘어났다는 의미다.

취업준비생은 20대가 60만 9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7만 9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20~30대 청년층 취업준비생은 전체 취업준비생의 89%를 차지했다. 1년 전과 비교해 늘어난 취업준비자 가운데는 75%가 청년층이다.

김경희 통계청 고용동향과장은 “청년층이 원하는 일자리는 제한된 반면 산업구조 변화와 함께 대기업의 채용 형태도 상시 채용으로 변화하고 있어 취업준비생 수가 증가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청년층 가운데서도 상대적으로 이같은 고용환경 변화에 보다 취약한 30대 취업준비생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1년 전과 비교하면 20대 취업준비자가 58만 7000명에서 60만 9000명으로 2만 2000명(3.7%) 증가했고, 30대 취업준비자가 14만 8000명에서 17만 9000명으로 3만 1000명(20.6%) 증가했다. 지난달에는 뚜렷한 이유없이 ‘그냥 쉰다’는 30대도 1년 전에 비해 3만 3000명(14.6%)이 증가했다.

◇30대 ‘취준생’ 증가 두드러져…“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정책 필요”

성별로 보면 20~30대 모두 여성 취업준비생이 남성 취업준비생보다 더 많이 늘어났다. 20대 남성 취업준비생은 1년 전 31만 8000명에서 31만 2000명으로 6000명(-1.9%)이 줄어든 반면, 여성 취업준비생은 26만 9000명에서 29만 7000명으로 2만 8000명(10.3%)이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남성 취업준비생은 같은 기간 11만명에서 11만 9000명으로 9000명(8.3%) 늘어나는데 그친 반면, 여성 취업준비생은 3만 9000명에서 6만명으로 2만 1000명(55.2%)이 증가했다.

김 과장은 “비대면 시장이 커진 탓에 30대 종사자 비중이 높은 도소매업의 일자리가 좀처럼 회복하지 못하면서 청년층 가운데서도 30대 취업준비생이 더 많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청년 고용 문제 해소를 위해서는 도시와 지방간,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가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지금처럼 재정을 쏟아부어 일자리를 만드는 방식은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나영돈 고용정보원장은 “미스매치 해소가 청년 일자리 대책의 핵심”이라며 “단기적 처방보다는 구조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나 원장은 “산업계가 주도하는 교육 훈련으로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공급하는 한편 청년들이 기피하는 지방 일자리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게 지방의 정주여건과 기업의 조직문화 개선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