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공개된 한국갤럽의 정례 여론조사 갤럽리포트(7월 19일부터 2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32%로, 이전 조사와 동일하게 나왔다. 지지율 하락세가 멈춘 것이다. 그렇다면 지난 조사와 이번 조사 사이에 어떤 일이 있었을까?
바로 대통령실 수석들이 비로소 등장하기 시작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홍보 수석도 기자들 앞에서 직접 브리핑을 하고, 시민사회 수석도 모습을 드러냈다. 역대 정권을 보면, 대통령실 수석들이 직접 등장하는 것은 흔한 일이었다. 일각에서는 비서진이란, 묵묵히 대통령을 보좌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이것도 맞는 말이지만, 이런 논리는 일반 회사의 회장 비서진에 더 맞을 듯싶다. 대통령실 수석들과 비서진은, 대통령에게 쏟아질 여론의 화살을 대신 맞아주는 역할도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통령에게 집중될 화살을 대신 맞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대통령이 직접 해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대신 말하면서, 야당의 공격에 공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다.
하지만 윤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 대통령실 비서진이 이런 대응을 한 경우는, 이번을 제외하고 거의 없었던 것 같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지적하고 싶은 점은, 대응할 때는 사안의 핵심을 잘 짚고,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에 있었던 ‘사적 채용’ 논란의 대응 과정을 보면, 핵심을 벗어나 오히려 엉뚱한 논란을 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사적 채용 논란의 핵심은 역대 정권들의 청와대 직원 채용 과정이 공채 형식이었는지 아니었는지, 그리고 과거 정권의 청와대 직원 중에 선거 캠프 출신이 얼마나 있었는지 하는 부분이다. 그런데 여당은 엉뚱하게도 이 문제를 공무원 급수 비하 논란으로 비화시켰다. 이런 식의 대응이라면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좋았을 뻔했다는 생각까지 든다. 또 한 가지 지적하고 싶은 점은, 해명을 해도 용어 선택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번 사적 채용 논란을 대통령실에서 해명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엽관제’와 같은 표현은 삼가했어야 했다는 것이다. 해당 발언의 취지는, 과거 정권부터 청와대 직원 채용 과정은 ‘비공개 채용’이었고, 선거 캠프에서 일했던 이들을 채용하는 것이 일종의 관례였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는 하지만, 엽관제라는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논란을 오히려 키운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들을 종합해 보면, 정치란 타이밍이라고 할 때, 대통령실 비서진들이 나서는 타이밍도 늦었고, 여당의 해명도 핵심을 짚지 못한채 다른 부분을 건드려서, 오히려 논란을 키웠다는 점 때문에, 대통령 지지율 하락이라는 결과를 낳았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런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서, 대통령실 비서진들은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만일 또다시 실수가 나온다면, 대통령의 지지율은 급강하할 것이고, 정책 추진 동력도 상실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대통령실 비서진이 얼마나 변화한 모습을 보여줄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