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만약 ‘김부겸 3위’가 현실이 된다면

이정현 기자I 2020.08.15 07:00:00

무관심 전당대회가 곤혹스러운 김부겸
‘호남色’ 이낙연, ‘강성 친문’ 박주민 사이 샌드위치
지역주의 타파 상징… 부진할시 ‘TK 포기’ 시그널 우려

[이데일리 이정현 기자]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권을 노리고 8·29전당대회에 출마한 김부겸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정치적 위기를 맞았다. 코로나19(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 속 비대면으로 대회를 치르느라 흥행이 저조한데다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로 연설회마저 연거푸 취소됐기 때문이다. 선두인 이낙연 전 국무총리와의 격차를 좁히고 쫓아오는 박주민 최고위원을 누를 만한 방법이 없다. 이러다 3위로 밀리는게 아니냐는 비정한 전망도 나온다.

21대 총선 선거운동 기간인 지난 4월 12일 김부겸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구 수성갑 후보가 대구 수성구 이마트 만촌점 앞에서 유세차량에 오르기 전 횡단보도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부겸 부진, TK포기 시그널로 이어질라

김 전 장관은 원외인사다. 지난 4·15총선에서 대구 수성구갑에 출마했다가 39.29% 득표에 그치며 미래통합당의 주호영 현 원내대표에 석패했다. 가뜩이나 당내 입지가 좁아져 있는데 당권레이스에서 부진하면 정치적 영향력이 줄어들고 차기 대권 도전 동력도 상실된다.

민주당에서 김 전 장관이 3위를 할 것이라 예측하는 인사는 많지 않다. 박 최고위원의 출마가 늦었던 데다 김 전 장관의 출마 명분인 지역주의 타파를 지지하는 ‘친노’(친노무현)의 영향력 덕이다. 그러나 “3위를 할 수도 있다”는 조심스런 전망이 나온다. 전당대회를 한 달 앞둔 지난달 29∼30일 윈지코리아컨설팅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150명을 대상으로 당 대표 후보지지도를 조사한 결과(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이낙연 39.9% 김부겸 21.8% 박주민 15.7%를 차지하면서다.

민주당 지지층만 보면 김 전 장관과 박 최고위원의 순위는 뒤집어진다. 이 전 총리의 지지도는 57.4%, 박 최고위원 18.0%, 김 전 장관 17.1% 순이다. 권리당원에서도 이 전 총리 51.5%, 박 최고위원 22.7%, 김 전 장관 19.9%로 이어진다.

호남을 등에 업은 이 전 총리의 대세론이 굳고, 강성 친문 지지층이 박 최고위원으로 집결하는데 뒤집을만한 카드가 없다. 무관심 대회에 김 장관만 샌드위치 신세다. 온라인으로 연설회를 치르느라 전당대회 열기가 가라앉은 데다 기록적인 폭우로 연설회마저 줄줄이 취소되고 있다. 김 전 장관의 캠프는 폭우로 호남·충청 지역 합동연설회와 TV토론회가 취소되자 지난 11일 “당의 결정을 납득하기 어렵다”며 재고를 요청했다.

◇애증의 영남.. 포기하면 정권재창출 장담 못해

김 전 장관은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으로 이어진 민주당 영남 확장의 아이콘이다. 고 노 대통령을 지지하던 친노 세력이 김부겸 곁에 선 건 그가 지역주의 타파를 기치로 내걸었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4·15총선에서 대승을 거뒀으나 영남에서는 영향력이 대폭 축소됐다. TK(대구·경북)에서는 한 석도 가져오지 못하며 사실상 몰살당했다.

TK의 민주당 세력은 현재의 분위기가 불안하다. 이번 전당대회서 김 전 장관이 부진하면 당이 영남을 포기했다는 시그널로 외부에 비칠 수 있다. 4·15총선 당시 사실상 중앙당의 지원을 받지 못했던 것의 연장선이다. 자칫 고 노 대통령과 문 대통령으로 이어지며 닦아온 지역 기반이 와해할 수 있다는 우려다.

김 전 장관은 전당대회에 나서면서 ‘영남 300만 표’를 약속했다. 부동산 정책 미스와 여권 인사들의 성비위로 수도권 민심이 사정없이 흔들리는 가운데 영남에서 최소한의 기반을 잃는다면 정권재창출도 없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180여 석을 가져오며 대승을 거뒀으나 전국 득표는 49%에 불과하다.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호남을 석권하고 접전지가 많았던 수도권에서 승리를 거둔 덕이다. 반면 호남에 비해 인구가 많은 영남에서는 대부분의 의석을 통합당에 내줬다. 절반이 안 되는 표로 과반 의석을 확보할 수 있었던 배경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