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 학설에서는 친수성 물질은 소수성인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친수성인 호메오 단백질도 만들어진 세포 안에서만 작용한 뒤 소멸된다고 여겼다. 하지만 호메오 단백질이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해 주변 세포로 이동한다는 주장도 있어 약 30년 간 학계의 논란이 돼 왔다.
연구팀은 기존 세포생물학의 정설을 깨고 호메오 단백질이 대부분 세포막 밖으로 분비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팀이 인간의 160여 개 호메오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그 중 95%가 세포의 외부로 분비돼 주변 세포로 이동했다.
나아가 연구팀은 세포의 외부로 분비되기 위한 조건으로 호메오 단백질 내부에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가 필요하다는 것도 증명했다.
김진우 교수는 “이 연구를 통해 세포 간 이동이 호메오 단백질들이 갖는 일반적인 특성임이 증명됐다”며 “이 연구가 30년 가까이 이어져 온 호메오 단백질의 세포 간 이동현상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은정 KAIST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한 이 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선도연구센터, 글로벌연구실)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생명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인 ‘셀 리포트(Cell Reports)’에 7월 16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