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수부가 이같은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은 올해 봄철을 포함해 상반기에는 어선 사고가 특히 잦았기 때문이다. 지난 2~3월에 걸쳐 일어났던 전남 해남군의 어선 전복, 경남 통영 욕지도 어선 전복 등 제주와 남해안 일대에서 발생했던 사고들이 대표적이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 5월 안전관리 대책을 통해 조업 관리를 강화하고 조업이 금지되는 풍랑경보 발효 기준을 강화하기로 한 바 있다.
어선 사고는 전체 바다에서 일어나는 사고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어선 사고를 줄이기 위한 대책은 곧 해양 안전과도 직결된다. 해수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발생한 전체 해양사고 중 어선 사고의 비중은 66.2%(2047건)에 달했다. 전체 해양사고 10건 중 7건은 어선의 충돌, 전복 등 조업 중에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봄철은 성어기로 조업이 잦지만 일교차로 인해 안개가 많이 발생하는 등 기후로 인해 각종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해수부에 따르면 지난 5월까지 해양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는 73명으로, 전년 동기(34명) 대비 2배 넘게 늘어났다.
봄철 잦은 해양 사고는 올해만의 일이 아니다. 한국해양교통공단이 지난 2018~2022년까지 해양 사고를 분석한 결과 봄철 선박 충돌사고는 전체의 21.3%(269건)에 달했다. 또 이 기간 일어난 인명피해(52명) 중 34.6%(18명)도 봄철에 집중됐다.
해수부는 성어기인 봄철은 물론, 집중호우나 태풍이 잦은 여름 등 계절별 특이사항을 반영해 올해 처음으로 계절별 예방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최근 3년간의 사고를 취약 시기별로 분석한 자료를 한국해양교통공단으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하기로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기존에도 봄철은 해무, 여름~가을철은 태풍 등 계절별 요인을 종합적인 예방 계획에 담고자 했지만 과거의 사고 이력을 빅데이터로 활용하고, 계절별로 체계화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해수부는 매년 달라지는 해양 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해마다 사고 원인 분석과 연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중장기 전략도 마련할 계획이다. 해수부 관계자는 “현장 이행실태를 점검하고 어민들의 어려움 등을 정책에 반영하고, 매년 연구용역을 정례화하고자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