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에 따르면 한국경제가 직면한 위험은 곳곳에 내재돼 있다. 성공 뒤에 싹트기 시작한 나태함, 자신만을 위하는 이익집단의 고착화, 변화를 주도할 리더십의 부재, 고비용구조 등이 그것이다. 우선 수출과 내수, 제조업과 서비스업,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균형 있는 성장이 필요하다. 여성취업이 확대되고, 정년의 폐지 혹은 연장 등으로 노동인구가 고령화되는 데도 대비해야 한다. 고령화와 민주주의·사회복지의 치명적 결합이 재정 건전성을 해치지 않도록 엄격한 재정준칙도 세워야 한다.
시장경제가 활성화돼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역할은 축소되는 게 좋다는 것도 저자의 주장이다. 경제성장은 근본적으로 민간기업이 주축이 돼야 하며, 선진국의 문턱을 넘고 있는 한국경제의 성장전략이나 산업정책을 정부가 계획적으로 추진하는 건 더 이상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더 늦기 전에 한국경제는 전면적인 리모델링을 시작해야 한다. 2027년 한국경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정부와 시장의 역할 정립과 효율화가 절실하다는 판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