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전자지불 업계 관계자는 “처음 신용카드를 사용했을 때를 기억해 보면 제대로 결제가 된 것인지 의아했던 기분이 누구나 있을 것”이라며 “정확히 결제가 된 경험이 쌓이면서 (신용카드가) 보편적 결제수단이 된 것 아니냐. 스마트 결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신민정 다날 과장은 “바코드 방식 결제의 경우 사전에 본인 인증을 통해 설정해 놓은 비밀번호를 눌러야 아예 앱이 실행된다”며 “누가 휴대폰을 탈취하더라도 절대 결제하는 데 이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특히 스마트폰 내 NFC 등 보안 모듈은 여타 단말기보다 더 복잡하게 설계돼 있어 현존 최고의 안전성을 자랑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문제가 발생한다면 단순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등 사용자의 부주의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오히려 전문가들은 향후 발생할지 모르는 신종 해킹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휴대폰 운영체제(OS) 자체가 해킹을 당하는 경우 언제든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응재 한국인터넷진흥원 팀장은 “악성코드에 따라 통제되기 쉬운 PC와 달리 스마트폰은 보안성이 강해 해커가 마음대로 통제하기 쉽지 않은 것이 현재 상황”이라며 ”그러나 스마트 결제 시장이 커지면 어떤 신종 해킹 기술이 등장할 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
☞ [플랫폼전쟁]모바일 '錢의 전쟁'..'M월렛'을 잡아라
☞ [플랫폼전쟁]'유심이냐 앱이냐'..누가 이용자 사로잡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