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높이 밑돈 中 지표…정부 부양책도 시들
17일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 5월 소매판매는 12.7% 증가해 시장 예상치인 13.7%를 밑돌았다. 소매판매는 내수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월 산업생산은 1년 전과 비교해 3.5% 늘었지만 상승세가 둔화했다.
선진국 경기 둔화로 대외 수요가 약화되는 가운데 내수 역시 회복이 미진했다는 평이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고용과 가계소득 개선 없이 이연수요에만 기댄 소비 회복을 바라보는 의구심 또한 만연하다”며 “실물경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경기도 회복세가 둔화됐다”고 말했다.
결국 강한 부양책을 펼쳐야만 경기 반등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의견이다. 대외 수요 모멘텀을 기대하기 어려운 만큼 내수 모멘텀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봤다. 그간 부양책을 아껴 온 중국 정부의 기조 변화에 눈길이 쏠리는 이유다.
중국 상무부는 경제지표 발표 후 소비 진작을 위한 패키지 정책 출시를 예고했다. 자동차, 가구, 외식 등 소비 지원과 대대적인 판촉 활동 전개가 예상되고 있다. 인민은행(PBOC)은 시중은행에 대한 정책금리인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1년물 금리와 역환매조건부채권(역RP) 금리를 각각 10bp(1bp=0.01%포인트) 인하한 2.65%, 1.90%로 결정했다.
신 연구원은 “오는 20일 발표 예정인 대출우대금리(LPR) 인하가 매우 유력해진 상황”이라며 “다만 금리와 지준율 인하 등 완화적 통화정책은 경기 하단을 지지하는 데 그친다”고 설명했다.
경기 모멘텀 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정책은 부동산 부양책이 거론되다. 가용한 방안으로는 △주담대 금리 하향조정 △대도시 구매 제한 완화 및 다주택자 주택담보대출비율(LTV) 확대 △대규모 디벨로퍼 유동성 지원 등이 있다.
신 연구원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 전환이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정책 강도와 시행 시기는 여전히 미지수”라며 “하반기 정책 기조를 결정하는 7월 정치국회의 전후로 정책이 구체화될 가능성에 주목한다”고 전했다.
|
◇ 강한 부양책 4분기 예상…“선별 접근할 주식은”
올 3분기엔 강한 부양 정책이 나올 가능성은 낮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중국의 경기는 리오프닝 경기 회복 구간이고, 적극적인 재정확대 조치를 단행할 수 있는 여력이 크지 않다는 진단이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경기조정 정책은 ‘주택경기 침체’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중국 주택경기는 2분기 들어 거래 면적과 가격 지표가 다시 하락압력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했다.
6월 들어 중국 본토와 홍콩 주식시장은 부양 정책 기대감을 이미 반영해 당분간 제한적인 등락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중국 주식시장의 펀더멘털과 유동성 개선 시점은 4분기가 유력해, 당분간 견조한 실적과 성장 모멘텀이 있는 테마·종목을 주목했다.
전 연구원은 “중국은 3분기 미세 정책 조정을 거쳐 4분기 부양 정책이 강화될 전망”이라며 “당분간 △실적 반등이 기대되는 저평가 국유기업 우량주 △주가 탄력이 강화될 첨단 제조·디지털·부품·소재 업종 △ 미국의 첨단 산업 공급망 재편 정책에 대응해 중국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반도체, 로봇, 인공지능(AI) 밸류체인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