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새로운 미래를 열 혁신적 시그널로 글로벌 산업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일반 기업들은 물론 금융·투자 업계에서도 ESG가 메가트렌드로 우뚝 서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헤쳐 갈 단 하나의 생존 전략으로 주목받고 있다.
기업들이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릴 때나 신용평가사로부터 신용등급을 평가받을 때 ESG는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은행들은 ESG 평가 기준과 내부 신용등급 요건을 충족한 우수기업에는 대출 이자를 낮춰주는 혜택을 제공하기도 한다. 소비자들이 사회공헌, 환경보호 등 ESG를 중시하는 기업의 제품을 선호하는 현상도 두드러지면서 기업들이 포장재를 친환경 재질로 바꾸고 탄소 배출을 줄이는 노력에도 탄력이 붙고 있다.
ESG는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개념이 아니다. 환경이나 노동·인권 등 사회 문제, 주주권익 실현과 투명하고 공정한 이사회를 지향하는 지배구조는 공동체의 존속과 성장을 위해 오랫동안 추구해온 가치였다. ESG가 다른 것은 직접적인 규제나 압박이 아닌 시장 경제 메커니즘을 통해 자율과 투자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이다.
기업이 ESG 경영을 도외시한다 해도 그 누구로부터 처벌받지는 않는다. 하지만 ESG에 소홀한 기업은 앞으로 투자를 유치하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실제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탄소 제로’ 정책을 제시하면서 전 세계 어디서든 기후변화 대처에 역행하는 사업을 벌이면 미국시장 진출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당장의 수익을 추구해야 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본다면 비용만 더 들어가는 ESG 경영은 쉬운 일이 아니다. 성과가 눈에 보이지 않아도 ESG를 잘 실천하면 장기적으로 경영 실적이 호전되고 기업 가치도 올라간다는 경영자와 종업원의 확신이 있어야 한다.
이데일리가 23~24일 이틀간 각계 최고의 전문가를 초청해 ‘자본주의 대전환: ESG노믹스’를 주제로 제12회 전략포럼을 개최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번 포럼은 기업경영 전반에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새 시대를 이끌 ESG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하는 한편 ‘한국형 ESG’의 미래를 제시하고 세계화의 기회를 찾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