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 커지는 바이오시밀러]③정부가 발목 잡을라…업계 '노심초사'

강경훈 기자I 2018.05.23 00:12:48

2년전 결론 스스로 뒤집은 금감원, 시장 혼란 초래
"제조업 중심 정책 고수하면 바이오 싹 마른다"
바이오의약품 특성 맞는 규제 완화 절실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가 지난 17일 열린 금융위 감리위에 출석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사진=이데일리 DB)
[이데일리 강경훈 기자] 바이오시밀러(생물학적 의약품 복제약)를 비롯해 바이오의약품 업계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도움과 협력이 필수다. 하지만 정부가 최근 원칙 없는 회계 기준을 내세워 업계 발목을 잡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감리위원회는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부정 논란과 관련해 오는 25일 2차회의를 연다. 지난 1일 금융감독원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의 기업가치를 부풀렸다는 의혹을 제기한 이래 20일이 넘도록 논란이 진행 중인 것. 또한 셀트리온을 비롯한 10여개 바이오의약품 업체들 역시 두달 째 금감원으로부터 테마감리를 받고 있다. 연구·개발(R&D)비를 비용 대신 자산으로 처리, 영업이익을 부풀렸다는 게 이유다. 업계는 최근 이들 업체에 대한 회계 의혹은 전반적인 바이오산업의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우려하고 있다.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 한 바이오벤처 대표는 “회계처리 방식의 잘잘못을 떠나 논란이 생기는 것 자체가 업계에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한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정부의 일관적이고 장기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 바이오시밀러 업체 임원은 “정부는 바이오시밀러의 목표를 글로벌 시장 진출이라고 인정하면서도 정작 글로벌 진출을 원하는 업체들의 목소리에는 귀를 닫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그는 “정부가 제조업 중심 정책을 고수하는 한 바이오의약품에 맞는 정책을 기대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조업은 생산시설을 마련하고 자금을 투입하면 바로 제품이 나온다. 하지만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한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최대 10년간 연구를 지속해도 결과가 나오기 어렵다. 이 임원은 “정부가 연구비를 지원하고 성과가 안 나오면 연구비를 빼돌린다고 의심하고, 연구비로 장비를 구입하면 비싼 장비를 샀는데 왜 실적이 안 나오는지 묻는 상황”이라며 “제조업 중심 시각으로 바이오산업을 바라보니 부흥은 커녕 불필요한 규제만 양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규제 완화는 바이오시밀러 산업 육성의 첫 조건이다. 최근 보건복지부가 주최한 ‘바이오코리아 2018’에 참석한 글로벌 전문가들은 “한국이 고급인력이 많고 기술력이 뛰어난 만큼 바이오시밀러 선두국가로 성장할 가능성이 충분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당국의 허가심사 규제완화가 선행되야 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휴고 데윗 독일 사토리우스 상무는 “한국이 아시아 지역 바이오시밀러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포지셔닝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방규호 경남과학기술대 제약공학과 교수는 “유럽은 의약품 제조소가 바뀌면 바뀐 내용이 품질에 어떤 영향을 줄지에 대한 자료만 제출하면 된다”며 “하지만 우리나라는 동일한 장비를 써도 최초신고와 동일한 수준의 자료를 제출해야 해 불필요한 업무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