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대우조선 문제에 있어 가장 큰 현안은 사내 하청 근로자들의 파업 이슈다.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지난달 2일 시작된 대우조선 하청노조 파업이 이날 기준 48일째 이어지면서 윤석열 대통령이 공권력 투입까지 시사하는 등 일촉즉발 상황까지 국면이 악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대우조선 재매각 문제는 강 회장과 산업은행 입장에서 사실상 현안에서 뒷전으로 밀려나 있는 처지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파업 이슈로 현재 모든 게 멈춰 있다”고 했다.
대우조선에 따르면 매출 감소와 고정비 손실에 따른 피해 규모는 이날 기준 약 8800억 원에 달한다. 현재까지 납기가 지연된 선박의 인도 지연에 따른 보상금(월 130억원), 협력사 폐업에 따른 피해액, 휴업·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임금 삭감분까지 포함하면 총 피해액이 이미 1조원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대우조선의 지난 1분기 매출액인 1조2455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이번 파업으로 1분기 매출을 통째 잃게 된 셈이다. 특히 이번 파업이 몇 년 간의 불황을 끝으로 조선 업황이 회복되는 국면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산업은행 등의 안타까움은 더욱 클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산업은행 안팎에 따르면 현재 강 회장뿐 아니라 부행장들까지 앞장서 대우조선 파업 이슈 해결에 골몰하고 있다. 이는 곧 대우조선 재매각 추진에 앞서 파업이 워낙 큰 당면 과제인 터라 산업은행이 대우조선 재매각을 신경 쓸 여력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실제 산은은 노조와 대화하기 위해 이날 강병호 구조조정본부장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 본사로 급파하는 등 파업 이슈 진화에 진력하고 있다.
금융위원회 한 관계자는 “대우조선 처리 방안과 관련한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의 생각이 정리되려면 우선 가장 큰 이슈인 파업 문제가 해결돼야 할 것으로 본다”며 “다만 파업 문제와는 별개로 우리 측에선 강 회장과 조만간 대우조선 처리 문제와 관련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민간 재매각 입장에는 변화가 없지만 현재 대우조선이 파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조선용후판인 강재 가격 상승 등 경영상 불확실성이 많으니 시점을 떠나 매각을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인지부터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결국 대우조선의 새 주인 찾기 작업은 노조 파업 등 여파로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인데 강 회장은 파업 외에도 본점 부산 이슈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에 포함된 산업은행 부산 이전 문제를 두고 사측과 노조 간 대립이 심화하면서 강 회장은 지난달 21일 임명 14일 만에야 겨우 취임식을 했다. 강 회장 임명 당시부터 강 회장 출근 저지 투쟁을 이어 온 산업은행 노조의 ‘본점 부산 이전 반대’ 집회는 장기화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산업은행 노조가 ‘강 회장이 지방 이전 반대를 천명할 때까지 1년이고 2년이고 투쟁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강 회장은 취임 직후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본점 이전 등 현안과 관련해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소통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밝혔으나 이 역시 노조 반발로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대우조선 노조 파업과 본점 부산 이전이란 대형 현안 해결도 급급한 상황에서 강 회장이 대우조선 처리 문제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강 회장이 최근, 취임 후 첫 정기 인사와 직제 개편을 단행하며 표면적으로는 경영 정상화에 시동을 거는 모습”이라며 “하지만 파업과 지방 이전 이슈 같은 워낙 큰 이슈들에 둘러싸여 대우조선 매각 이슈까지 생각할 여유는 없어 보인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