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한미 통화스와프 타결…이주열·홍남기·유상대 ‘일등공신’(종합)

최훈길 기자I 2020.03.20 00:31:31

600억 달러, 6개월 체결
외환시장 안정화 효과 전망
이주열·유상대, 美 연준 ‘접촉’
홍남기, 美 재무부에 자필편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모습. 사진은 홍 부총리가 취임한 직후인 2018년 12월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을 찾아 이 총재와 오찬 회동을 한 모습. [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세종=이데일리 최훈길 기자] ‘외화 안전판’인 한미 통화스와프가 체결됐다. 달러 사재기로 환율이 폭등하고 외환시장에 위기감이 확산하자 선제적 대응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한국은행과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19일 밤 10시(한국시각) 600억달러 규모의 양자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연준은 한국 외에도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브라질, 멕시코 중앙은행 및 싱가포르 통화청과도 동시에 스와프 계약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스와프 계약 기간은 최소 6개월(9월19일)이다.

한은은 “최근 급격히 악화된 글로벌 달러자금 시장의 경색을 해소하는 게 목적”이라며 “통화스와프를 통해 조달한 미 달러화를 곧바로 공급할 계획이다. 이는 최근 달러화 수급 불균형으로 환율 급상승을 보이고 있는 국내 외환시장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은 2008년 9월18일(이하 현지시간) 캐나다·영국·일본, 24일 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호주, 28일 뉴질랜드에 이어 10월30일(이하 한국시간) 한국·멕시코·브라질·싱가포르와 통화스와프를 체결했다. 당시 기재부·한국은행은 금융위기 단초가 된 리먼브러더스 파산 이후 1달여 만에 타결을 이끌어냈다. 이번에는 논의가 촉발된 지 1달도 채 안 돼 체결됐다.

그동안 이주열 한은 총재는 BIS(국제결제은행) 이사로 선임된 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과 BIS 총재회의에서 만나면서 물밑 논의를 해왔다. 연준과 연락하며 실무 논의를 총괄해온 유상대 한은 부총재보도 전격적인 타결이 되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홍 부총리는 최근에 스티브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에게 자필 편지를 보내 지원에 나섰다. 홍 부총리는 편지에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의 효과를 언급하면서 양국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재부는 서포트 역할을 했고 한은이 연준을 접촉해 한미 통화스와프를 전격적으로 체결했다”며 “홍 부총리가 외신 간담회를 열고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 효과, 한국경제 상황, 코로나19 경제대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20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외신 간담회를 열 예정이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전 원장은 “우리나라의 외환 보유고 등 펀더멘털(기초체력)이 튼튼하지만 지금은 세계경제가 전대미문의 불확실성을 겪는 상황”이라며 “한미 통화스와프가 금융시장의 불안을 해소하고 시장에 신뢰를 주는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통화스와프=서로 다른 통화(화폐)를 사전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교환(swap)하는 외환 거래다. 두 나라 간 중앙은행 간 체결한다. 외화가 바닥나는 등 유동성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국 통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외화를 가져올 수 있다. 외환 추가 확보와 함께 국제사회의 우려도 덜 수 있어 ‘외화 안전판’으로 불린다.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보.
우리나라는 캐나다·스위스·중국·호주·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아랍 에미리트(UAE) 등 7개국과 양자 간 통화스와프를, 아세안 등 13개국과 다자 간 통화스와프를 맺은 상황이다. 미국과는 2010년에, 일본과는 2015년에 통화스와프 체결이 종료됐다. 미국은 캐나다·스위스·영국·일본·유럽연합(EU) 등과 통화스와프를 맺고 있다.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MIM)는 아세안(ASEAN)+3(한중일) 회원국의 역내 다자 간 통화스와프를 뜻한다.[출처=한국은행, 기획재정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