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양시장도 분위기는 비슷하다. 수요가 급감하면서 올해 청약을 진행한 오피스텔 중 절반이 미달 사태를 빚었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전국 오피스텔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4 대 1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평균(13 대 1)의 3분의 1 수준이다. 과거 1~2인 가구를 중심으로 수요가 높았던 것과 대조적인 현상이다.
상황이 이렇자 공급물량도 급감했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전국 오피스텔 분양 물량은 3612실로 집계됐는데, 2021년과 지난해 같은 기간 각각 1만3390실, 1만916실이 공급된 것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줄어든 수치다.
주거용 오피스텔 매매 인기가 냉랭해진 이유는 고강도 규제 때문으로 보인다. 부동산 급등기 때 값비싼 소형 아파트의 대체재로 평가받으며 인기를 끌었지만 정부가 2020년부터 보유 주택 수에 오피스텔을 포함하면서 세 부담이 크게 늘었다. 게다가 특례보금자리론 대상에서 제외되고 ‘비주택’으로 분류돼 아파트보다 대출 금리가 높다.
반전은 임대수익률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5월 안정세를 보인 국고채 수익률과 대조적으로 서울 동북 지역(강북·노원·성북·중랑·동대문·성동·광진)이 연 5%대를 기록하며 인천(5.9%)을 비롯한 수도권 전체가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는 전·월세전환율 상승에도 임차인의 ‘월세 선호도’가 심화하면서 동반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전국기준 전·월세전환율은 5.8%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오피스텔 규제 완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공급축소와 매매가격 하락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오피스텔은 대출 한도나 금리 등 경쟁력이 떨어져 인기가 식었다”며 “오피스텔에 쏠리던 투자 수요도 소형 아파트로 옮겨 가는 분위기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