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든 영끌, 긴장한 당국…10일 점검회의 연다

서대웅 기자I 2023.08.10 05:31:49

일반 주담대 6월 3.7조, 7월 3.9조↑
고금리에도 주담대 수요 급증
상당수 신규 주택구입 목적인 듯
당국, 10일 가계부채 긴급 점검회의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은행 가계대출 증가폭이 빠르게 확대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초저금리였던 2020~2021년과 달리 올해엔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는데도 대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정책모기지, 집단대출 등을 제외한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커지고 신용대출마저 20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영끌’과 ‘빚투’가 다시 고개를 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일반 주담대 증가폭, 정책모기지 앞질러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9일 발표한 ‘2023년 7월중 가계대출 동향’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은행권의 일반 주담대와 신용대출 추이다.

은행 주담대가 증가 전환한 것은 지난 3월인데, 4월까지는 정책모기지가 증가를 이끌었다. 1월 말 출시한 특례보금자리론 수요가 몰린 영향이 컸다. 3월 정책모기지는 7조5000억원 늘어난 데 반해, 정책모기지와 전세대출 및 집단대출 등을 제외한 일반 주담대는 1조9000억원 감소했었다.

일반 주담대는 4월 300억원 늘어나며 증가 전환했고 5월(2조원) 들어 증가폭을 키우더니 6월(3조7000억원)엔 정책모기지(2조6000억원)를 앞질렀다. 7월에도 정책모기지(2조4000억원)는 증가폭이 둔화한 반면 일반 주담대(3조9000억원)는 증가폭이 확대했다.

6월과 7월은 올해 들어서도 금리가 오른 시점이었다. 변동형 주담대 지표금리 역할을 하는 코픽스(신규취급액 기준)는 지난 5월 3.44%로 전월 대비 소폭 하락했으나 6월 3.56%로 반등한 뒤 7월 3.70%로 올랐다. 혼합형(5년 고정+이후 변동금리) 주담대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 역시 5월엔 3.8~3.9%대에서 움직였지만 7월엔 4.2% 선까지 올라섰다.

주택거래량이 회복하며 주택구입 목적의 주담대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올해 1월 1만9000호에서 올해 6월 3만6000호로 늘었다. 매매거래량은 통상 2~3개월 뒤 주담대 취급으로 이어진다. 실제로 5대 시중은행의 주택구입 목적의 주담대 신규취급액 증가액은 1월 6조원에서 6월 9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일반 주담대와 정책모기지 등을 합한 주담대 전체 잔액은 7월에 6조원 증가했다. 전월(6조9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소폭 둔화했으나, 전월을 제외하면 2021년 7월(6조원) 이후 2년 만에 최대 증가다. 2021년 7월 신규취급액 코픽스는 0.92%였다. 이후 코픽스가 현재까지 4배가량 높아졌는데도 주담대 수요가 2년 전과 비슷해졌다는 의미다.

◇금리 3배 뛰었는데...신용대출 20개월 만에 최대폭 증가

신용대출이 2021년 11월(5000억원 증가) 이후 20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7월 은행 신용대출 증가액은 500억원에 불과하다. 문제는 고금리를 마다하고 대출 상환보다 신규 취급 수요가 더 많아졌다는 점이다. 2021년 11월 신용대출 지표금리 역할을 하는 은행채 6개월물 금리는 1.3~1.5%대였다. 올해 7월엔 3.7~3.8%대에서 움직였다. 금리가 최대 3배 높아진 셈이다.

이러한 양상은 제2금융권에서도 나타났다.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카드대출은 6월엔 2000억원 줄었으나 지난달 6000억원 증가했다. 보험 계약대출도 6월 2000억원, 7월 5000억원 각각 늘어나며 증가폭을 키웠다. 이 영향으로 2금융권 전체 신용대출 등의 기타대출은 2000억원 줄었으나 전월(1조7000억원 감소) 대비 감소폭이 축소했다.

2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7월에 6000억원 줄었지만 감소폭이 전월(2조2000억원) 대비 크게 둔화했다. 은행 대출 수요가 늘어나며 은행에서 받지 못한 대출을 2금융권에서 충당하려는 수요가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금융당국은 현재의 가계대출 규모가 아직까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 올 들어 7월까지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은 10조2000억원으로 ‘영끌’, ‘빚투’가 성행했던 2020~2021년과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2020년과 2021년 연중 은행 가계대출 증가액은 각각 100조7000억원, 71조6000억원이었다. 더구나 2금융권까지 더한 전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올해 1~7월 6조5000억원 줄었다.

하지만 은행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폭이 가파른 점에 당국도 주목하고 있다. 당국이 10일 이세훈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열고 대응방향 논의에 나서는 것은 이 때문으로 보인다. 금감원,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유관기관이 참석한다. 이와 별도로 당국은 대응책 마련도 고심 중이다. 2020~2021년 때처럼 가계대출 총량규제와 같은 방식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은행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고 있는 상품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둔화시키는 안을 만들 예정인 것으로 파악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