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제조업 부진·기술격차 축소에…韓 중간재 수출 직격탄

김형욱 기자I 2023.05.12 05:00:00

[위기의 대중 교역]②
수출 제조업 여전히 위축 흐름
韓 중간재 수출도 덩달아 침체
‘상저하고’ 기대 ‘상저하저’ 우려로
"주력산업 공급망 재편 대응하고,
中 소비시장 공략 더 노력해야"

[이데일리 김형욱 방성훈 기자] 중국 경제가 코로나19 이후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으로 되살아날 조짐이지만, 우리나라는 12개월째 지속된 대(對)중국 수출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등 기대했던 ‘리오프닝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중국의 경기 회복이 내수 소비재·서비스업 중심으로 이뤄지는 데다, 우리나라 수출에 긍정 영향을 미치는 제조업의 회복세가 더딘 탓이다.

일각에선 중국의 탈(脫)한국 움직임이 속도를 냄에 따라 우리의 대중국 중간재 수출이 예전처럼 활기를 띄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중국 리오프닝 효과에 기대어 하반기엔 경기가 반등할 것이라던 ‘상저하고(上低下高)’ 전망에 대한 의구심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대응하는 동시에 중국 소비재·서비스 시장 영향력을 이전 수준으로 키우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더뎌지는 中 리오프닝 효과

11일 관세청이 집계한 5월1~10일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이 144억9000만달러(약 19조원)로 전년동기대비 10.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무역수지 적자는 41억7000만달러로 다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중국 부진 영향이 크다. 같은 기간 대중국 수출액(32억1000만달러)은 14.7% 줄었다. 대중국 무역적자도 10억5000만달러에 달했다. 이런 추세라면 12개월 연속 대중국 수출 감소, 8개월 연속 무역적자 흐름이 이어질 것이 유력하다.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기대에 크게 못 미친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리오프닝 이후 중국의 내수 소비재·서비스업이 살아나고 있지만, 우리나라 반도체·디스플레이의 핵심 수요처인 제조업, 그 중에서도 특히 IT산업의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제조업 체감경기를 보여주는 차이신(財新)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5로 3개월 만에 다시 위축 국면으로 전환했다. 이 지수는 50을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경기 확장, 이하면 위축을 뜻한다. 지난 2~3월 50을 소폭 웃돌며 반등 기대감을 내비쳤으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다는 걸 보여준 것이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달 30일 발표한 4월 제조업 PMI도 3월 51.9에서 4월 49.2로 올 들어 처음 위축했다. 같은 기간 중국 종합 PMI는 54.4로 50을 웃돌았으나, 이는 서비스·건설업 등 비제조업 PMI(56.4) 영향이 컸다.

전문가들은 올 하반기에는 우리나라도 리오프닝 영향권에 들 것으로 기대하는 눈치이만, 아직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구기보 숭실대 글로벌통상학과 교수는 “우리에게 중요한 중국내 반도체 수요는 인공지능(AI) 등 시장 확대로 수요 확대를 기대할 수 있지만, 중국 수출의 단기간내 회복은 힘들 것”이라며 “반도체 경기가 2~3분기께 저점을 찍고 4분기에 약간 올라올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때쯤 리오프닝 효과를 기대할 만 하다”고 강조했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도 “중국의 리오프닝 효과가 하반기에는 나타날 것이란 기대감을 갖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중국 수출이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 좋지 않아 리오프닝 효과의 불확실성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中 수출 살아나도 韓수혜 줄어

IT를 중심으로 중국 수출 제조업이 되살아나더라도 한국 중간재의 대중국 수출이 크게 늘어나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중국이 오랜 기간 주력산업 공급망을 자립화하며 한국 중간재 의존도를 줄여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의 ‘대중국 교역구조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기 기계장비와 기기 등 대중국 수출 제품의 경쟁력 지표(RCA)는 1990년 3.23에서 2020년 1.49로 절반 이상 줄었다. 기준점인 1보다 높다는 점에서 아직은 비교 우위에 있지만, 그 격차는 빠르게 좁혀지고 있다. 우리나라가 1990년대 중국의 시장개방 이래 단 한번도 허용치 않던 대중국 무역수지 적자가 최근 급격히 커지는 것도 이 같은 제품 경쟁력 변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이부형 현대연 동향분석팀 이사대우는 “우리의 대중국 교역수지 악화는 글로벌 경기 등 영향이 크지만, 중국의 교역 경쟁력 상승이 동반하면서 나타난 현상이기도 하다”며 “산업과 교역 경쟁력을 높이는 대응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공급망 재편 대응-소비재 공략 강화해야”

기업들도 연초 중국 리오프닝에 따른 상저하고 기대감을 거둬들이고 있다. 중국발 부진이 예상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10일 대중 수출기업 300곳에 회복 시점을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84.3%가 연내에는 회복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복에 2~5년은 걸리리란 응답도 40%에 이르렀다. 응답자의 17%는 예년 수준으로의 회복은 영영 어렵다고 답했다. 응답 기업의 76.3%가 5년 내 중국의 기술성장이 한국을 능가(41.3%)하거나 비슷할 것(35%)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주력산업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움직임에 대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한미일 동맹 강화라는 정치외교적 움직임과 별개로 중국과의 경제교류 활성화 노력을 통해 소비재·서비스 부문의 리오프닝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정인교 인하대 국제통상학과 교수는 “중국의 부진은 미·중 갈등과 함께 전 세계적인 경기 흐름 및 공급망 변화와 맞물려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진 우리 수출 회복도 상당 기간 어려울 것”이라며 “중국과의 새로운 분업 구조를 조기 정착하기 위해 대중 관계를 관리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구기보 교수는 “지난해 43조9733억위안(약 8500조원)에 이르는 중국 소비시장을 두고 대중국 의존도를 줄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정부는 중국 경제 관료, 기업 총수와의 교류를 점차 늘려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