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대 성장률은 1998년 외환위기(-5.1%), 2009년 금융위기(0.8%),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 (-0.7%)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주요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실물 경기 위축,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복합위기’ 심화로 인한 정책 대응력 약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인한 고물가 흐름 지속 등이 우리 경제의 성장률을 갉아먹을 것으로 봤다.
갑작스러운 경기 냉각 후 깊은 침체 수렁에 빠지는 ‘경기 경착륙’에 대한 공포감도 컸다. 이번 조사에서 금융위기 수준의 경기 경착륙 발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 중 9명(43%)이 ‘높다’고 답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고금리 속에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수출과 부동산 가격 버블 붕괴로 내수의 동반침체가 나타나고 있다”며, 경기 경착륙 가능성을 높게 보는 배경을 설명했다.
가계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식, 부동산 등 실물자산의 가격은 더 떨어질 전망이다. 부동산 시장은 거래멸종 현상이 심화하고, 집값 하락 압박도 강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내년 증시는 상반기 부진한 흐름을 이어가다 하반기에야 상승 전환할 것이란 관측이다. 경기 침체에 기업 이익이 줄고, 빚에 눌린 기업들의 어려움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상황이 이런 데도 고물가 지속으로 정부는 경기 부양책 카드를 꺼내기도 힘들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중 15명(71%)이 내년 물가상승률로 3%대를, 3명(14%)은 4% 이상을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위기 국면에서 서둘러 벗어나려면 성장엔진인 수출 부문에 대한 보다 강력한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또 물가 등 민생경제 안정, 신용경색 완화에 초점을 둔 정책 추진을 당부했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부교수는 “기준금리는 물가 상승 추세가 확실히 꺾였다는 지표가 확인될 때까지 낮추면 안 된다”면서 “재정정책은 통화정책과 엇박자가 나지 않도록 지출을 최소화하고, 취약계층에 핀셋지원을 해야 할 것”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