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멱칼럼]성현 따라 걷는 天理의 길, 녀던 길

송길호 기자I 2021.06.18 05:50:00
[김병일 도산서원 원장, 전 기획예산처장관]‘와~ 정말 경치 좋다!’ 도산서원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면 청량산이 시야에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바로 이 지점에 설치된 전망대에 서면 이구동성으로 뱉는 탄성이다. 정면에 청량산 육육봉이 우뚝하고 양옆 산능선 사이로 맑은 강물이 굽이치며 흘러내린다. 산이 태극모양이니 그 사이 물도 태극처럼 흐른다. 대지의 기운이 이보다 오롯이 느껴질 수 없다.

감탄하다가 바로 옆에 늘어서 있는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시비들로 눈길이 향한다. 경관도 빼어난데 역사적 인물의 자취도 만날 수 있으니 금상첨화다. 퇴계는 도산에서 청량산으로 이어지는 이 강변길을 오가며 아름다운 자연과 자신의 소회를 시로 담아냈다. 옛 성현이 가던 길이라는 뜻인 ‘녀던 길’이란 이 길 명칭도 퇴계의 「도산십이곡」 제9곡 가사 중에서 따온 것이다.

이곳 산천에 대한 퇴계의 감회는 그 깊이와 폭이 일반인과는 사뭇 달랐다. 457년 전 어느 날 새벽 해 뜰 무렵 광경을 담아낸 시가 바로 그렇다. 그날 새벽 여기서 만나 청량산을 가기로 약속한 죽마고우 벽오 이문량 (1498~1581)이 웬일인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자 시시각각 밝아오는 풍광 앞에 더 이상 지체할 수 없었던 퇴계는 ‘나 먼저 말 타고 그림 속으로 들어가네’라고 한 폭의 수채화 같은 시를 읊으며 먼저 출발했다. 그리고는 이어지는 강변으로 나아간 그는 ‘맑은 여울과 높은 산 숨었다 다시 나타나니/ 한없이 변하는 모습 나의 시상을 돋우네’라며, 태극처럼 굽이도는 산과 강의 모습을 마치 사진을 찍듯 놓치지 않고 시로 담아냈다. 그러면서 자신이 자연을 이렇게 좋아하니 ‘눈에 가득한 산봉우리들도 나를 반갑게 반기네’라며 노래하였다.

그런데 자연 산천과 인간 퇴계는 결코 격이 같을 수 없다. 이를 누구보다 잘 아는 퇴계는 시를 지어 주인 자리를 산천에게 양보한다. “한참 동안 떠올려 보네 어릴 때 여기서 낚시하던 일/ 30년 세월 벼슬로 등졌었지/ 내 돌아와 보니 산천 모습 여전한데/ 산천은 늙은 내 모습을 알아볼런지” 자신은 돌아와 자연의 품에 안기고 싶은데 대자연이 품어 줄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 겸허함이 묻어난다.

자연으로 돌아온 퇴계는 이곳에서 사색하며 많이 배우려고 하였다. 성리학자답게 퇴계는 인간은 자연이 부여한 본성대로 바르게 살아가야 한다고 믿었다. 그런데 자연은 언제나 변하지 않는 하늘의 이치[天理]에 따라 운행하는데 인간은 본성대로 살아가지 못하고 사욕에 이끌리기 쉬운 존재가 아닌가? 그러니 하늘이 내린 착한 본성을 보전하고 사욕을 막는최고의 공부 장소는 자연이 아닐 수 없다.

강물 속에 우뚝 솟아 있는 경암(景巖)이란 바위를 읊은 시에서도 그런 의지가 읽힌다. “천 년 동안 물결친들 어찌 닳아 없어지겠는가/ 물결 속에 우뚝 솟아 그 기세 씩씩함을 다투는 듯/ 인간의 자취란 물에 뜬 부평초 줄기 같으니/ 뉘라서 이 가운데 굳게 서서 견디리오”

이렇게 살피다 보니 자연과 인간의 만남을 다시 생각하게 된다. 자연이 욕심 많은 인간을 만나면 망가지고 흉물스러워진다. 반대로 좋은 사람을 만나면 자연의 가치는 드높아진다. 솜씨 있는 사람이 어울리는 집을 지으면 그림과 사진이 더 예술적으로 재탄생하게 되는 이치와 같다.

녀던 길은 그저 그런 사람들이 지나다닌 길이 아니라 퇴계가 오가며 그의 정신세계를 남긴 길이다. 그 결과 이곳의 자연 또한 퇴계를 만나 더욱 가치 있는 명소가 되었다. 녀던 길이 조선시대에는 퇴계를 흠모하는 선비들의 발길이 마치 성지를 순례하듯 끊임없이 이어지던 길이었다는 사실이 이를 잘 말해준다. 오늘의 우리도 녀던 길을 걸으며 빼어난 자연을 감상할 뿐 아니라 퇴계선생이 남긴 사람답게 사는 길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으니 큰 횡재가 아닐까 싶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