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B3 등 시장조사업체에 따르면 중국 전기차 내수 시장은 지난해 30만대를 넘어 미국·유럽을 제치고 글로벌 1위에 올랐다. 특히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인 비야디(BYD)는 지난해 5만 8838대를 팔아 테슬라와 닛산을 제치고 글로벌 수위를 차지했다.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자동차 산업에서 주도권을 쥐려는 중국의 전기차 육성 전략이 성과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광대한 내수시장과 정책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이 자동차 전장사업에 뛰어듬에 따라 국내 기업들은 힘겨운 경쟁에 직면하게 됐다. 중국은 지난해 3월 ‘중국제조2025’라는 제조업 혁신 계획을 선언하며 반도체, 로봇 등과 함께 배터리를 키우겠다는 전략을 공개적으로 표명했다. 업계는 중국 정부가 기술과 원가 경쟁력이 뒤진 중국업체들이 선진업체들을 따라잡을 수 있도록 정부 지원과 규제를 병행할 것으로 예상했다.
실제 올해부터 배터리에 대한 각종 규제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주로 생산하는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에 대한 전기버스 보조금 지급 중단, 선별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규범조건’ 도입 등이 대표적이다. 올해 초 중국 외국투자청은 신에너지자동차 핵심부품을 제조하는 외자기업 지분을 내년부터 50% 이하로 낮추는 조치를 단행하기도 했다.
작년 11월 각각 시안(西安)과 난징(南京)에서 전기차용 배터리 공장 가동에 들어간 삼성SDI와 LG화학 등은 잇따른 규제강화에 당혹스러운 반응이다. 두 회사는 당초 추가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배가할 계획이었으나 현재는 중국 정부의 규제 추이를 지켜보며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업계에서는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가 여러 업체가 난립하는 배터리 업계에서 국내 업체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LG화학 관계자는 “당장 현지에서 생산하는 국내 기업의 배터리에 대한 극단적인 규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면서 “규제의 의도가 자국 기업 육성에 있는 만큼 장기적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이 크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2010년 2010년 인터넷 검역규제를 받아들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시장점유율 33.2%를 차지하던 구글을 중국시장에서 퇴출시켰다. 이후 중국 검색엔진인 바이두와 동영상 스트리밍사이트 유쿠 등은 놀라운 성장가도를 걸었다.